본문 바로가기
728x90

최재천7

다윈 지능 / 최재천 01 진화론, 그 간결미 ㆍ서양의 2,000년 사상사의 기반을 제공한 사람은 누가 뭐래도 플라톤이다. 흔히 본질주의 또는 예표론으로 불리는 플라톤의 사상 체계에 따르면 이 세상은 영원불변의 완벽한 이데아 또는 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현 전형으로부터의 변이는 진리의 불완전한 투영에 불과하다. 따라서 생물의 종들은 영원불변의 존재들일 수밖에 없다. 금이 은으로 변할 수 없듯이 한 종이 다른 종으로 변할 수는 없다. - 이 같은 관념이 훗날 기독교 신학을 통해 더욱 굳건히 서양인들의 사고 방식에 뿌리내리게 된다. 1장에 기록되어 있는대로 이 우주는 물론 거기 사는 생명 모두 하느님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믿음은 생물 종의 불변성에 자연스럽게 부합하는 개념이었다. 다윈은 놀랍게도 플라톤이 진리의 불완전한 그림.. 2023. 7. 29.
인간과 동물 / 최재천 저자의 말 ㆍ모든 걸 쪼개어 분석하던 환원주의의 20세기가 저물고 통섭의 21세기가 열렸습니다. 섞여야 아름답고, 섞여야 강해지고, 섞여야 살아남습니다. ㆍ알면 사랑한다! 제1강 알면 사랑하게 된 ㆍ생물학은 기초과학의 한 분야지만 종합적인 성격이 강한 학문입니다. 생명 현상 자체가 너무나 다양하므로 다양한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고, 그런 다양한 질문에 답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ㆍHow와 Why라는 두 물음이 모두 필요하고, 이 두 물음 모두에 답을 할 수 있어야 완벽하다고 할 수 있지요. ㆍ자연과학의 특성 1. 자연법칙에 따라야 한다. 2. 모든 것을 자연법칙에 따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3. 실제 세계에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4. 연구 결과는 언제나 잠정적일 수밖에 없다. 5. 반박할 수 .. 2022. 8. 22.
과학 종교 윤리의 대화 / 최재천, 김희준, 양명수, 오진곤, 정병훈 외 ㆍ우리는 스스로를 만물의 영장이라 추켜세운다. 하지만 우리 인간이 영장의 자리에 오른 것은 그리 오랜 옛날이 아니다. ㆍ과학이 없이는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없었다. ㆍ새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윤리가 필요하다. ㆍ윤리는 인간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진화해온 산물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스스로 도덕적인 동물이라고 생각한다. 신문만 펼쳐보아도 우리들이 얼마나 부도덕하고 비정한 짐승들인가 쉽게 알 수 있지만 굳이 도덕을 버리지 않으려 한다. ㆍ우리는 왜 이렇게 도덕을 운운하며 도덕적으로 살기를 열망하는가? 그것은 우리가 도덕적이길 원하는 동물이기 때문이다. 왜 도덕적이길 원하는가? 도덕적인 사람들이 부도덕한 사람들보다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기 때문이다. 도덕적인 사람들이 부도덕한 사람들보다 덜 성공적이어서 자식을 많.. 2022. 7. 12.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 최재천 ㆍ제게는 소박한 신념이 하나 있습니다. '알면 사랑한다'는 믿음입니다. 서로 잘 모르기 때문에 미워하고 시기한다고 믿습니다. [1] 알면 사랑한다 1. 동물도 남의 자식 입양한다 ㆍ우리 몸 속에 순수한 배달의 피만 흐른다고 우길 수 있는가? 2. 왜 연상의 여인인가 ㆍ남자들은 평균 2.5세 정도 어린 여자와 결혼하기를 희망하고 여자들은 3.5세 정도 위인 남자를 원한다. ㆍ남자가 사십대에 이르면 자기보다 약 다섯 살쯤 아래인 여자를 원하지만 오십대에 접어들면 열 살 내지 스무 살이나 어린 여자를 원한다. ㆍ암컷들은 수컷 자체의 매력보다는 그가 가진 재산 정도를 기준으로 수컷을 선택한다. 얼마나 좋은 환경에서 새끼들을 기를 수 있는지가 훨씬 중요하다는 말이다. 3. 개미군단의 만리장성 쌓기 ㆍ언뜻 보면 일.. 2022. 5. 11.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 최재천, 이토 요시아키 ㆍ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사람에게는 언제나 떠나지 않는 하나의 물음이 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바로 이 물음이다. 이는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사람에게 당위적이고도 불가피한 물음이다. 이 물음을 거론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우선 두 개의 이유를 들 수 있다. 1) 인간에 대한 전통적 정의나 규정만으로는 인간의 존재방식이나 삶의 양식을 이해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의식, 2) 인간의 행동과 존재방식을 원리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가 새롭게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ㆍ사회생물학: 생물학에 기초하여 인간의 행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제1장 사회과학, 다윈을 만나다 • 최재천 ㆍ사회과학과 사회생물학을 하나의 문화적 담론의 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연결고리 중의 하나가 바.. 2022. 2. 22.
통섭의 식탁 / 최재천 머리말_세상에서 가장 풍성한 만찬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ㆍ나는 스스로 책벌이라고 고백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책 읽기를 즐기며, 책 쓰기를 게을리하지 아니하고, 책 모으기에 열심인 사람이 비난받을 이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없을 것 같아 당당히 고백한다. ㆍ우리의 눈은 삼차원 입체를 보도록 진화한 기관이다. ㆍ눈 건강을 해치면서까지 독서 취미를 해야 하는지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나는 독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잘 모르는 분야의 책을 붙들고 씨름하는 게 훨씬 가치 있는 독서라고 생각한다. ㆍ탁월한 선택은 단연 독서이다. ㆍ고령시대를 살아가는 데 기획 독서는 더할 수 없이 중요한 전략이다. Today’s Specials셰프 추천 메뉴 3 ㆍDNA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인간과 침팬지가 공동 조상에서 .. 2021. 12. 2.
이기적 감정 / 랜돌프 M. 네스 자기 불신에서 벗어나 삶의 확신을 되찾는 자아회복 지침서 한국어판 서문 _위기가 일상이 된 시대, 불안과 함께 살아가는 법 ㆍ정상적인 불안은 대부분 쓸모가 없다. 그런데도 왜 우리는 이렇게 자주 불안할까? 불안을 비롯한 나쁜 감정들은 당면한 위험의 가능성과 그 위험에 반응하지 않을 때의 비용을 곱한 것보다 그 비용이 낮기만 하면 가치가 있다. 그래서 위험이 불확실할 때는 정상적인 거짓 경보로서 불안감을 자주 느낀다. 프롤로그 _‘왜 인간의 삶은 고통으로 가득한가?’에 답하는 새로운 관점 ㆍ정신장애가 존재하는 이유는 뭘까? 정신장애의 종류는 또 왜 그렇게 많을까? 정신장애는 왜 이렇게 흔할까? 자연선택이 불안과 우울, 중독, 식욕부진증, 자폐 장애, 조현병, 양극성장애를 일으키는 유전자들을 제거할 수도 있.. 2021. 11.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