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 유민석
1 존엄한 삶에 대한 확신의 파괴 _혐오표현• 혐오표현은 그냥 말이 아니라 여러 감정에 기반한 차별행위이자 폭력행위이고, 표적 집단에게 다양한 방법과 수단들로 행해진다. 말이나 글 등의 언어적인 표현뿐 아니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호, 그림, 사진, 문학, 영화, 연극, 음악, 비디오게임, 광고, 퍼포먼스, 복장 등을 통해서 행해질 수도 있다. • 언어란 곧 행위이며 언어의 의미는 그 사용에 있다 - 비트겐슈타인 • 모욕: 언어로 하는 구타• 선동: 증오의 촉진• 종속: 열등한 신분의 창조 • 무시: 묵살과 왜곡의 이중주 • 혐오표현의 기능1) 직접적으로 피해자들을 모욕하고2) 부정적인 편견과 차별을 선동하며, 3) 권리와 권력을 박탈하거나4) 피해자를 침묵시키는 • 어떤 것이 혐오표현일까?1..
2025. 1. 17.
희랍어시간 / 한강
• 초등학교에 다니면서부터 그녀는 일기장 뒤쪽에 단어들을 적기 시작했다. 목적도, 맥락도 없이 그저 인상 깊다고 느낀 낱말들이었는데, 그중 그녀가 가장 아겼던 것은 ‘숲’이었다. 옛날의 탑을 닮은 조형적인 글씨였다. ㅍ은 기단, ㅜ는 탑신, ㅅ은 탑의 상단, ㅅ-ㅜ-ㅍ이라고 발음할 때 먼저 입술이 오므라들고, 그 다음으로 바람이 천천히, 조심스럽게 새어나오는 느낌을 그녀는 좋아했다. 그리고는 닫히는 입술, 침묵으로 완성되는 말. 발음과 뜻, 형상이 모두 정적에 둘러싸인 그 단어에 이끌려 그녀는 썼다. 숲. 숲.• 고대 희랍어에 수동태와 능동태 말고 제 3의 태가 있다는 것. 중간태라고 부르는 이 태는, 주어에 재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사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에 중간태를..
2025.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