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ㆍ네이버, 포털에서 플랫폼으로
ㆍ언제부턴가 한국 땅에서 인터넷 이용은 곧 네이버의 초록색 박스의 활용을 의미했다.
ㆍ플랫폼은 이제 영향력 있는 사회적 제도로 자리 잡고 있다. 다양한 산업 내 가치 사슬에서 플랫폼은 강력한 플레이어 노릇을 하고 있다. 양적으로 증가하고, 그 형식에서 다양함을 보이더니 이젠 권력까지 지닌 존재로 부상하고 있다. 이른바 플랫폼의 양질 전환이 발생하고 있다.
1장 포털 서비스 네이버의 변신
ㆍ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벤처팀으로부터 갓 독립한 작은 회사였다.
ㆍ플랫폼은
1) 디지털 인트라이며,
2) 공급자와 이용자를 서로 연결하며
3) 그 둘 간의 상호작용으로 가치를 창출한다.
ㆍ인터넷 사업에 대한 역사적 접근법의 이점
1) 오늘날 플랫폼 환경이 지닌 파급력을 기술 중심의 논의에서 구해 내고 구체적인 정치경제적 맥락 위에서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역사적 접근법은 포털 서비스의 변화를 초래한 다양한 요인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줄 수 있다. 포털 서비스나 인터넷 산업은 기술, 정책, 산업, 글로벌 경제, 인터넷 산업 내부의 변화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3) 인터넷 서비스 환경의 변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해보면 한국 인터넷 이용 문화가 어떻게 고착되었고, 그로부터 어떤 특성이 생겼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2장 포털 서비스에 던지는 질문
ㆍ역사적 제도주의 접근법은 사회 내에 존재하는 제도를 중심으로 특정 현상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ㆍ역사적 제도주의에서 말하는 역사란 제도의 지속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수준의 맥락과 이들의 역학 관계를 뜻한다.
3장 네이버의 시작
ㆍ정보 통신망의 구축과 관리는 정부의 개입을 수반한다.
ㆍ인터넷 상용화는 기업의 네트워크 관리뿐 아니라 웹 환경 자체의 상업화로 이어진다.
ㆍ월드 와이드 웹 시스템이 화폐 교환이 이뤄지는 시장 공간이 되기 위한 세 개의 기본 요소
1) 정보 관리 웹 서버
2) 응용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3) 정보 검색 응용 프로그램
ㆍ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화폐 자본, 권력, 문화적 규정 능력의 축적은,
1) 초국가적 수준에서 이뤄지며,
2) 이 과정은 정보의 주관적 측면인 지식 생산과 객관적 측면인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더욱 의존하게 된다.
3) 정보 통신 기술에 의해 증대된 생산력이 생산 관계에 의해 매개됨으로써 부정의하고, 불평등한 자본주의 질서는 더욱 굳어진다.
ㆍ상업적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자의 세 가지 대립
1) 경제적 대립
2) 정치적 대립
3) 시민사회적 대립
4장 포털 시장 독과점: 종합 포털이 되다(2000~2005)
1. IT 버블 붕괴와 인터넷 산업의 물적 기반 확대
2. 네이버의 놀라운 약진
3. 네이버, 종합 포털이 되다
5장 웹2.0 시대의 개막과 플랫폼형 포털로의 변화(2006~2010)
1. 웹2.0 기술과 담론의 활용
2. 유연성의 발휘
3. 플랫폼형 포털: 폐쇄적 개방성
6장 모바일 시대와 메가플랫폼 형성(2011~ )
1. 모바일 경제 시대, 플랫폼 자본주의로의 진입
ㆍ모바일 기기 사요을 기반으로 플랫폼은
1) 더 많은 광고 수익을 올릴 수 있었고
2) 증가하는 미디어 이용 활동 데이터를 기록해 양화한 후 광고주에게 세밀하게 분류하여 이용자 정보를 판매할 수도 있었고
3)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이 직접 부가 서비스를 개설할 수 있게 되었다.
2. 메가플랫폼의 형성
ㆍ네이버는 소상공인 창업 지원과 결제 수수료 면제를 내세워 적극적으로 소상공인을 자신의 전자 상거래 서비스 안으로 끌어들였다.
ㆍ상품의 검색부터 구매, 결제까지 상품 거래 과정 전반을 매개하는 독자적인 생태계의 형성은 네이버의 핀테크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를 통해 가능했다. 네이버페이는 포털 사이트에서 상품 결제와 유료 서비스의 구매, 개인 간 송금, 오프라인 구매나 세금 납부를 지원한다. 그로써 전자 상거래와 인터넷 금융 서비스의 외연을 확장했다.
ㆍ2017년 10월 네이버는 웹 브라우저 웨일의 PC버전을 공개했다.
ㆍAI 스피커 - 프렌즈
ㆍAI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 (AiTEMS)
ㆍAI 장소 추천 가이드 - 스마트어라운드
ㆍAI 기술의 도입으로 결국 이용자는 플랫폼 안을 벗어나지 못하고 그 안에서 개인화되고, 소비자화되어, 상품 구매의 주체로서 존재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플랫폼에 수익을 안겨 주는 적극적인 소비자가 된다.
3. 메가플랫폼의 사회적 효과
ㆍ이용자에 대한 통제 강화
ㆍ이용자 상품화 강화
ㆍ배경화
ㆍ인터넷 공간의 상업화
ㆍ불공정성과 억압적 관용
ㆍ밈적 확장으로 인한 플랫폼의 독과점과 균질화
7장 플랫폼의 사회화
ㆍ2021년 4월 기준 메가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국내 기업 시가 총액 순위 4위와 6위의 거대 기업으로 변모했다.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 데이먼 센톨라 (0) | 2021.12.29 |
---|---|
4차 산업혁명시대 플랫폼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 정상희 (0) | 2021.12.29 |
메논 / 플라톤 (0) | 2021.12.28 |
어둠의 왼손 / 어슐러 K. 르 귄 (0) | 2021.12.28 |
일리아스 / 호메로스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