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존재3

에리히 프롬 / 옌스 푀르스터 “‘소유적 인간’은 자신이 가진 것에 의존하는 반면, ‘존재적 인간’은 자신이 존재하고, 살아 있으며, 내려놓고 응답할 용기만 있다면 새로운 무언가가 탄생하리라는 사실을 믿는다.” - 에리히 프롬 PROLOGUE 위대한 정신을 좇는 사냥꾼 ㆍ에리히 프롬이 우리에게 남긴 것은 사상뿐이다. 다시 말해, 정신뿐이다. 육신은 소멸하지만 정신은 영원하다. 01 『소유냐 존재냐』는 성공인가 실패인가 ㆍ프롬은 서로의 손을 마주 잡을 수 없는 두 가지 다른 경험의 길을 '소유'와 '존재'라고 불렀다. 그는 소유의 실존양식과 존재의 실존양식을 엄격히 구분했다. 존재는 소유와 가상의 반대말이다. ㆍ “프롬의 어떤 점에 감명을 받았어? 너와 어떤 점이 닮았다고 생각해” 상대방을 논리로 무찔러야 하는 논쟁의 자리도 아니니 자.. 2022. 10. 29.
분노사회 / 정지우 “분노는 인간의 여러 감정 중에서 가장 특별한 위치를 점한다.” 제1장 분노란 무엇인가 ㆍ분노는 인간의 여러 감정 중에서도 특별한 위치를 점한다. 전통적으로 감정이란 이성과 대립되는 것으로, 신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형상이라 정의되어 왔다. 이성이 합리적이고 객관적이고 사태를 숙고하는 것이라면, 감정은 즉각적이고 신체를 통해 사태에 반응하는 것이다. 머릿속에서만 진행되는 이성적 사고에 반해, 감정적 반응은 신체의 변화를 일으킨다. 신체는 슬플 때 눈물을 흘리고, 기쁠 때 웃음을 떠뜨리며, 화가 날 때는 소리를 지르거나 폭력을 행사한다. 이러한 감정들은 우리가 어떤 상태에 처했는지를 알려주는 신호이자, 사태에 대한 본능적인 대응 방법이기도 하다. ㆍ분노 역시 생존의 위협에 대처하는 원초적인 방식이다. 자.. 2022. 2. 22.
존재권력 / 브라이언 마수미 서문 ㆍ개인은 잊어버릴 수 있지만, 세계의 역사적 과정은 그렇지 않다. 이 기록하는 것은 특정한 사건이 아니라 사건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경향들이다. ㆍ한 번의 잠재력은 영원한 잠재력이다. ㆍ프로젝트는 부당한 형태의 권력, 특히 출현 수준에서 존재론적으로 작동하여 생성을 납치하는 권력 형태에 직면하여 저항의 사고와 실천을 기여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ㆍ권력의 생태학이 작동하는 방식에 조율하는 것은 상황의 복잡성에 생태학적으로 적응하면서 다른 식으로 힘을 부여하는 대항 권력의 전략을 파악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존재권력』 프로젝트는 부당한 형태의 권력, 특히 출현 수준에서 존재론적으로 작동하여 생성을 납치하는 권력 형태에 직면하여 저항의 사고와 실천에 기여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ㆍ존재권력은.. 2021. 10.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