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읽기의 미래 / 류대성

by mubnoos 2025. 1. 23.

 

 

 

   21세기 인류는 가상공간에서 정보를 얻고 자신의 일상을 공유한다. 

 

   미래 사회는 주체적인 삶의 태도가 필요하다. 지식과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지만 자신에게 시의적절하고 유익한 지식과 정보를 가려내는 건 각자의 몫이다. 지식과 정보를 걸러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고 비판적 안목을 기르면 문제 해결 능력도 향상된다. 접속과 공유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건 급변하는 시대에 발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상상력과 창의력이다. 더불어 자기만의 콘텐츠는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능동적, 자율적 학습 능력과 확산적 사고력, 정보 편집력이 필요한데, 이 모든 힘을 기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독서다. 

 

   정보는 저장, 전달, 재현하는 방식을 매체라고 한다. 매체는 인간의 의식을 바꾼다. - 프리드리히 키틀러

 

   독서는 선택이지만 읽기는 필수다. 이제 독서가 아닌 읽기의 시대다. 

 

   모든 책은 현실과 맞닿아 있으며 현실을 읽는 능력은 곧 미래를 읽는 능력이다. 

 

 

1부_ 책과 디지털 미디어 읽기



1장_ 시대정신과 독서의 본질

  우리는 매 순간 자본주의를 들이마시고 민주주의를 내뱉는다. 

 

  인간의 뇌는 독서를 원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나름의 목적을 갖고 각자의 방식대로 책을 읽는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책은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없어는 안 될 중요한 삶의 도구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독서는 생존 도구이며, 생계의 방편이며, 상처에 바르는 빨간약이다.

 

  책의 탄생은 계급을 붕괴시키며 근대의 문을 활짝 열었다. 지식은 이성을 발달시키고 합리적 사고 훈련에 기여했다. 자연스레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이어지며 집단 중심, 전체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개인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자아의 발견은 자유와 평등의 가치 발견으로 이어졌다. 정치제도와 경제체제의 변화를 이끌었으며 서회구조의 변동을 견인했다. 

 

  미래사회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이 아니라 새로운 질서와 상상력으로 세상을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2장_ 디지털 리터러시가 필요한 시대

  같은 말이라도 표정, 몸짓, 억양에 따라 달리 들린다. 모든 말과 글의 의미는 상황과 맥락이 결정하기 때문이다. 대면 상황이 아니라면 같은 메시지라도 전달 방법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닐 수도 있다. 더구나 디지털 미디어 시대인 오늘날 우리에게는 미디어 자체가 또 하나의 메세지로 다가온다. 

 

언어의 한계가 한 인간의 한계이다. - 비트겐슈타인

 

리터러시는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다. 

 

인간의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은 언어라는 상징 기호를 통해 이루어진다. 

 

질문이 사라진 사회에서 창의력은 계발되지 않는다. 창의력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는 조건에서,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에게서 저절로 창출되는 능력이다. 미래를 예측하고 변화와 혁신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 필요한 시대다. 창조력은 미래를 위한 생존 능력이다. 



2부_ 미래를 읽는 방법


1장_ 나를 위한 읽기 능력

  자발적인 독서의 가장 큰 장점은 지속 가능성이다. 

 

모든 물음의 도구였던 언어는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의 과정을 거쳐 한 인간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독서가 중요한 일상이며 습관인 사람은 다가올 미래가 두렵지 않다. 

 

사람들은 대체로 '팩트'보다 '스토리'에 흥미를 느끼며 오래 기억한다. 

 

무지보다 무서운 건 잘못된 인식에 대한 신념이다. 

신념이 가득한 사람보다 의심이 가득한 사람을 신뢰한다. 

 

독서는 타인을 판단하기 전에 자신을 성찰하는 과정이다. 

 

적어도 다른 의견을 가질 권리를 인정하고 나만 옳다는 오만에서 벗어나려면 독서가 필요하다. 

 

사실을 무시한다고 사라지지 않는다. - 올더스 헉슬리

 

폭발적으로 늘어난 정보와 지식의 양으로 두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 

1. 폭발적으로 증가한 지식과 정보에 대한 필터링이 불가능하다. 

2. 주체적인 정보 처리 능력의 부족이다. 

 

비판하지 않고 문제를 발견할 수는 없다. 문제가 없다는 건 비판적 관점의 결여를 의미한다. 

 

사회적 욕망은 학습의 결과이기 때문에 개인적 판단과 선택은 노력과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주체적인 비판 능력은 서로 다른 개인의 생각과 욕망을 넘어 합리적인 근거에 바탕을 둔 사유의 힘이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주체적인 사람이다. 우리는 스스로 선택의 기준을 수정하며 멀리 내다보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독서는 지극히 내밀하고 사적인 행위다. 책을 읽는 동안 우리는 철저하게 타인과 세상을 차단한다. 

 

문제는 사라지지 않지만 같은 문제라도 바라보는 사람의 생각과 태도는 변한다. 


2장_ 세상을 읽는 방법

식욕과 성욕은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근원적인 욕망이다. - 매슬로우 

 

독서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통찰력이다. 통찰력은 부분과 전체를 조망하며 사물과 사건이 놓인 상황을 파악하고 원인과 결과를 꿰뚫어 보는 눈이다. 다양한 분야의 독서는 개인의 직접경험을 넘어선다. 책 속에서 만나는 세계를 통해 시야가 트이는 간접경험이 독서의 본질이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복잡한 연결 고리를 읽어낸다. 개별적, 독립적 사건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신부님, 기도하는 동안 담배 피워도 될까요?

신부님, 담배피는 동안 기도해도 될까요?



3장_ 미래를 읽는 독서 방법

  불안은 자유의 현기증이다. - 키에르케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