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291 장례의 의미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난 눈물을 흘리지 않았다. 그 때는 너무나 갑작스러웠고 아버지의 죽음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깨닫지 못했다. - 아빠가 남기고 간 책임들을 내가 맡아야 한다는 것, 엄마가 의지하던 큰 축이 부셔져 버렸다는 것, 이제부터는 적어도 내 앞가림은 해야 한다는 것, 흔들리지 않는 어른이 되어서 가족을 위해 무엇 인가를 해야 한다는 것, 아빠가 내가 낳은 아이를 절대 볼 수 없다는 것, 아빠와는 더 이상 그 어떤 것도 공유할 수 없다는 것 - 아빠의 죽음이 쓸쓸하고, 무거운 것들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하지만 그 당시에도 한 가지 확실하게 가슴에 선명하게 새겨진 메시지가 하나 있었다. 삶은 소름끼치도록 허망하다 것이다. 삶은 의미 따위를 찾아볼 수 없는 허구에 가까운 거짓말 그 자체라는 것.. 2022. 2. 7. 한 뼘과 한 발짝 사이의 책임 명절 때마다 느끼고 생각하는 게 있다. 돈을 많이 벌어야 한다는 생각. 왜 그런 생각을 할까? 그 생각은 가족들이 안내해 준 - 졸업, 취업, 결혼 , 육아 - 과정들을 거치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더 커지는 거 같다. 가족은 책임이다. 난 책임들로 만들어져 있다. 장손, 큰아들, 오빠 ,아빠, 남편, 큰사위, 이사...나는 그 책임들의 거미줄에서 생각을 하고 선택을 한다. 명절 후에 어딘가 편하지만은 않은 기분은 아마도 책임들의 복잡한 마음 때문이리라. 나비가 비행하는 모습을 "한 발짝"이라도 멀리서 본다면 그 모습은 한가로이 아름답다. 하지만 그 나비의 모습을 "한 뼘 사이"에서 보게 된다면 그 모습은 조잡하고 흉물스럽다. 지금 와서 객관적으로 평가해본다면 내가 했던 것들 중에서 딱히 '성공'이라고.. 2022. 2. 4. 중소기업 취업 출발이 중소기업이라고 주저하지 말라. 중소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작은 기업에서는 그때그때 가리지 않고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짜증날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기업에서 필요한 다양한 일을 두루두루 경험해볼 수 있다는 것은 전체 경력을 관리할 때 무시 못 할 장점이 된다. 또 중소기업에서는 자기 역량을 인정받기 쉽고, 일단 크기 시작하면 성장의 속도가 빨라 발탁 승진의 가능성도 훨씬 높다. 사실일까? 2022. 2. 3. 불평등이 집단 내 또는 개체 사이에서 유지되는 세 가지 행동 1) 제도적 차별 또는 우열을 나누는 규칙 2) 이 규칙에 따른 지속적 차별 3) 확립된 차별과 우열의 규칙을 강화하는 비대칭적 행동의 보급 일단 규칙이 있다. 규칙은 지속하려고 만드는 것이고 그것을 강화하는 행동을 보급한다 2022. 2. 3. 불교의 진리 1) 삶은 고통이다. 2) 고통의 원인은 욕망이다. 3) 욕망이 허구임을 깨달아야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2022. 1. 25. 폭발이 있었고 침묵이 있었다 업무가 끝났다. 하지만 집에 갈수도 다른 일을 할 수 없다. 난 강간당하고 버려지는 기분이었다. 지난 몇 년간 이 분노를 어디다가 신고하거나 고소하려는 생각조차 할 수 없었다. 어차피 반복되는 일이니까. 끝을 낼 수 없는 일이니까. 도망갈 수 없는 일이니까. 난 결혼을 했고, 나이도 30대 후반이다. 아이도 있다. 엄마도 있고, 나를 보는 사람들과 무엇보다 나를 보는 나 자신이 있었다. 그건 삶이었다. 살아야 하는 시간과 찾아야 하는 의미. 2018년 6월 27일 수요일 7시 30분 쯤이었다. 난 내 자리에서 혼자 분노와 눈물을 삼키고 정신병자처럼 앉아 있었다. 계속 앉아 있었다. 1시간이상 난 계속 앉아 있었다. 이건 아니다. 이대로 계속 할 순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 상황을 바.. 2022. 1. 25. 쓰레기를 길에 버리지 않는 이유의 변화 1) -> 2) 1) 내가 지금 이 쓰레기를 버리는 것을 아무도 보지 못한다 하더라도, 이런 악행들은 우주의 보이지 않는 질서에 의해 결국에 내게 다른 형태의 악순환으로 내 삶으로 되돌아 올것이라는 카르마적 사고 2) 나와 동일한 종의 개체들이 같은 닫힌 계 속에 동일쓰레기를 길에 버린다면 (쓰레기의 양 * 인구의 수의 총량을 어림잡아 계산해 보면) 아마도 지구의 황폐화와 멸망은 가속화되며, 나의 수명기간을 고려할 때 환경의 제약조건이 증가하며 삶의 질이 저하되리라는 예측 2022. 1. 25. 양자역학이 삶에 주는 메시지들 1) 세상에 절대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 2) 삶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마치 확률게임 같은 것이다. 3) 답은 한 가지가 아니다. 모든 것들은 입자이며 동시에 파동이다. 이 세상은 정해진 것은 없다. 알 수 없다. 답은 한 가지가 아니다. 2022. 1. 25. 닥치고 쓰기 써야겠다. 닥치고 써야겠다.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글을 쓰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 코딩, 대리운전, 쿠팡물류, 배달, 창업? 너무 빨리 지나가서 뭐가 뭔지 모르겠다. 글쓰기는 내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다. 닥치고 일단 써보자. 내가 글을 쓰려고 하는 이유는, 있는 그대로 써보자면, 어딘가 너무 억울한 게 있는데 그게 뭔지 도무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 억울함 때문에 무엇인가를 쓰려고 한다. 지금 내 마음은 은행이라도 털고 싶은 마음이다. 지난 3년동안 줄창 책만 읽었다. 약 일 천권의 책을 읽었다. 내가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은 교양과 여유의 영역이 아니다. 절박하고 절실한 분노의 영역이다. 이제는 남의 이야기만 읽는 것이 아닌 나의 글.. 2022. 1. 25. S=VI Sucess = Value * Investment 0 = 0 * Investment 0 = Value * 0 0 = 0 * 0 2022. 1. 3. Re-think : Out of daily boredom Time to re-think : Out of daily boredom My days so very organized and repetitive that I feel like I spend 48hours a day everyday. you have no idea how good I've been doing. I feel like I'm doing well and nothing wrong. But how should I say this? sometimes I feel I've become a machine accessory or a part of fantasy. The problem is that there's nothing wrong with it. It means that changes and new .. 2021. 12. 14. 2022 목표 2022 글쓰는 부자 타이슨 2022 Writing Wealthy Tyson 1) 건강 / 몸 ㆍ웨이트 / 매일 1시간 (마이크타이슨) ㆍ수영/ 매일 1.5km (접형 마스터) 1) Health / Body Twice a day - regular basis ㆍWeight training / 1h a day (Mike Tyson) ㆍSwimming / 1.5km a day (Butterfly) 2) 지식 / 책 ㆍ독서 2 books / wk (104 books / yr ) ㆍ글쓰기 (#1 / 1mon) 2) Knowledge / Books ㆍReading 2 books / wk (104 books / yr ) ㆍWriting (#1 / 1mon) Preposterous, Desperate & Furious.. 2021. 11. 17. 삶은 지겹도록 힘든 것이다. 삶은 지겹도록 힘든 것이다. 지겹다, 힘들다는 두 가지 감정은 공통적으로 1) 지금하고 있는 것들을 끝내거나, 그만두고 싶은 마음, 그래서 2) 그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거나 도망가고 싶거나, 3) 그리고 그것들을 통해 궁극적인 의미를 찾지 못했을 경우 느끼는 감정들인 것 같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러한 감정들을 만들어내는 것들이 새롭게 만들어 졌다기보다는, 대부분 그것들은 계속해서 그곳에 예전부터 있었는데 그것을 모르고 있었던 경우가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행동하기 때문에 침전하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하고, 바꿔 말하면 무엇인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의미이고, 새로운 것들을 발견해 나가는 과정 중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변화를 위해 무엇인가 노력하고 매진하고 싶지만,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몰라.. 2021. 11. 16. 왜 무엇을 하는가? 불평등 해소의 개념과 해결책들이 가져오는 근원적인 변화는 인간의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현상', '아무것도 할 필요 없는 문화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본래 아무것도 하기 싫어 하니까요. 인간은 궁극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고 무엇인가를 하는 걸지도 모릅니다. 돈을 벌지 않으려고 돈을 버는 상황처럼 말이죠. 만약 모두 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평등하고 비슷하게 보이기는 할 거 같습니다. 인간이 무엇인가를 하는 이유는, 1) 고통이죠. 고통은 생각을 가져옵니다. 생각이 무엇인가를 하게 하고요. 사실 고통이 없으면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고통의 진화의 씨앗이고 양분이죠. 삶에서 고통을 제거하면 인간이 로봇과 기계와 다름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죠. 여기서 고통은 실제이고, 실존입니다. 2.. 2021. 10. 27. 삶이 어떻게 더 완벽해? 삶이 어떻게 더 완벽해? How can life be more perfect? In the journey of life, the word ‘PERFECTION’ exists actually to feel and use now, not only to describe something beyond or after, which is never like a utopian state or golden-trophy moment. I don’t know why but it seems like that we are kind of supposed to be imperfect & incomplete to perfectly embrace perfection. In other word, even without a religi.. 2021. 10. 21. 불편한 선거 선거는 불편한 느낌들을 수반한다. 예컨대, 1) 배가 고프지도 않은데 무엇을 먹어야할지 고민해야하는 느낌, 2) 어떤 메뉴를 선택하더라도 절대로 맛있을 것 같지 않은 느낌, 그리고 3) 이미 주문한 사람들은 본인의 음식만을 기다리지는 않는다. 자신이 주문한 것과 같은 것을 주문하라고 공공장소에서도 강요하는 것도 모자라 다른 메뉴를 선택한 사람들과는 심지어 실랑이까지 하는, 불편한 느낌들이다. 권력을 선택하는 것은 어딘가 불편하다. 권력과 음식을 선택하는 것은 모두 에너지, 즉 '힘'의 선택과 관련되어 있지만, 선거가 더 불편한 점은, 음식을 고르는 것과 달리, 선거에서 '아무거나' 찬스를 쓰면 의식이 없거나 무책임한 시민이 되기 때문에 공동체를 위한 나름의 이유와 선택을 준비해야 한다. 선거가 무엇인가를.. 2021. 10. 19. 어떻게 개선하고 지속할 것인가? 1. 제목 210930 또 끝나고 시작한다. ㆍ어떻게 개선하고 지속할 것인가? 2. 사실 ㆍ말일이다. 말일이 제일 싫다. 적게 받고 많이 주는 느낌이다. 그래도 또 한달을 맞이하고 더 나은 한달을 만들어야 한다. 3. 일반화 ㆍ부정적인 감정을 긍정적인 루틴으로 만들어야 한다. ㆍ긍정적인 루틴은 막연한 기대나 환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 익숙하지 않은 일들을 반복해야 가능하다. ㆍ어려운 이야기를 먼저 꺼내기 1) 인건비 미리 계산하기 2) 마감 미리 하기 4. 행동 ㆍ이번달 안에 전 업체들에 단가 인상 공문 보내기 ㆍ인상이 힘들면, 조건이라도 변경하기 ㆍ더 중요한 것은 루틴 설정과 루틴 지키기 2021. 10. 1. 어떻게 공장토지를 매입할 것인가 1. 제목 210928 점을 찍자. 어떻게 공장토지를 매입할 것인가 2. 사실 ㆍ돈이 없다. ㆍ사고 싶다. ㆍ안사면 더 힘들어진다. ㆍ지가 상승요인: 도로, 포스트 코로나 유입인구 증가 ㆍ내년 투자여력 발생가능 -> 자신을 이용한 레버리지 3. 일반화 ㆍ묻자. ㆍ들이대자. ㆍ될 수 있는 옵션을 생각한다. 분납, 시기조율 (2022 하반기) ㆍ실제 필요한 숫자를 생각하자. 8억 6천 4. 행동 ㆍ신용보증 방문 - 추가 보증 및 기존 보증 조건 변경 ㆍ재무 상태 재점검 ㆍ재무제표 설계 ㆍ매출 증가 -> 임가공 턴키화 ㆍ토지 구매 후 청사진을 시각화하자. 2021. 9. 29. 어떻게 폭력성을 제어할 것인가? 1. 제목 ㆍ폭력성은 거세되어야 하는가? 2. 사실 ㆍ나는 가끔 폭력적이다. ㆍ같은 현상을 다르게 바라본다. ㆍ결국 감정, 느낌, 추측을 기반으로 현상을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ㆍ타인의 영역 침범 혹은 신체적 위협에 공격적으로 반응하는 편이다. 3. 일반화 ㆍ결국 폭력은 문제를 악화시킨다. ㆍ현상을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으로 같은 현상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ㆍ위트와 논리가 우선 적용 대상이고 지켜야 할 것이 명확하고 필수적일 때 맞선다. 4. 행동 ㆍ웬만해선 상황이 악화되지 않는 비주얼을 만든다. - 증량 ㆍ매일 명상과 깊은 호흡 ㆍ화가 날 때 다른 생각을 한다. ㆍ폭력성을 표출할 다른 방법을 강구한다. - 복싱, MMA 등 2021. 9. 28. 앉아서 소변을 보는 것 아빠 6명이 있었다. 나도 그 중 하나였다. 아빠들도 엄마들처럼 가정과 육아의 책임과 역할에 관하여 비판적인 사고와 실제적인 행동을 공유한다. 현재의 아빠들이 책임과 역할에 관해 학습해야 하는 이유는, 지금 우리가 수행하는 아빠의 역할은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형태이기 때문이다. 다르게 생각하고 새롭게 시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빠의 역할이 점차 사라지거나, 가정 또한 올바로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다. 현재의 아빠들을 키운 베이비부머 시대의 아버지들처럼 하기에는 여러모로 무리가 있다. 아빠의 역할은 정확히 무엇일까? 씨주고 돈주고 고장나면 가는 것이 현실인가? 그 과정들 사이에 수행해야 하는 것들은 무엇일까? 아무도 이야기해주지 않기 때문에 가만히 있으면 나쁜 혹은 이상한 아빠가 되어버린다. 아빠들도 .. 2021. 9. 27. 돈은 있다가도 없어지고, 없다가도 생긴다? 돈은 있다가도 없어지고, 없다가도 생긴다? 돈은 있다가도 없어지고, 없다가도 없다. 돈은 있다가도 없어지고, 없다가도 생기기는 어렵다. 돈은 벌어야 생긴다. 심지어 돈을 벌어도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2021. 9. 26. 죽음은 선택할 수 없는 것일까?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자살'은 '스스로 자기의 목숨을 끊음'이다. '자살'이란 희생자 자신이 결과에 참여하는 모든 경우의 죽음을 말한다. 자신이 소극적이든 적극적이든,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죽음에 참여했다면 자살이다. 자기 자신의 죽음에 관하여 어떤 선택을 한다는 것은 자살을 의미한다. 삶은 아름다운 것이다. 삶은 소중한 것이다. 삶을 살아가면서 만나는 사람들은 소중한 사람들이고, 사랑하는 사람들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존재이며, 삶을 아름답고 소중하게 만들어주는 의미들이다. 그들은 의미없는 우주에 의미을 부여하기도 하며, 존재한다고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존재들이다. 명절은 '가족들'과 '그 가족들의 가족들'을 만나면서 우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지점이다. 동시에 우리는 그 연결망 속.. 2021. 9. 23. 어떻게 영업을 확장시킬 것인가? 1. 제목 210915 영업 2. 사실 ㆍ영업이 부족하다. ㆍ현재 거래처 10개 남짓 ㆍ거래 방식: 지인 소개나 예전 거래처 직원 이직에 의한 확장이 대부분 3. 일반화 ㆍ제3의 거래처를 확보하자 (인터넷, 모바일, 해외바이어) ㆍ이젠 새로운 채널을 확보해야 한다. ㆍ단순 사출제품만 제공하지 않고, 서비스의 양질을 확장한다. ㆍ설비 가동률에 대한 질문을 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하자. how to operate and manage all kind of machines that we have? 4. 행동 ㆍ사진 촬영이 가능한 현장을 만들자/ 근본은 깔끔한 현장이다 - 정리 정돈 - 포토존? - 제품 D/P 공간 - 샘플 소품 - 쇼룸 ㆍ제3의 거래처를 확보하자. - Web: yellowhive.. 2021. 9. 23. 감정이 아니라면 무엇인가? 결국 감정이다. 감정은 모든 것을 설명하는 열쇠이며, 존재하는 실체이다. 감정은 '의식의 감각'와 '질료의 현상들'의 절묘한 균형을 통해 빚어진다. 감정은 균형의 문제이다. 균형의 문제가 항상 그러하듯, 감정은 명료하게 설명하기에는 모호하고 애매한 개념이다. 우리가 만든 언어를 통해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한 것일까? 감정이 모든 것을 결정하지만 우리는 감정을 알 수 없다. 우리의 감정이 복잡하고, 무작위이며, 불확실하기 때문에 우리가 사는 세상이 그렇다고 정의하는 것이 아닐까? 여기에 시간의 개념이 추가된다면 감정의 개념은 더 상대적인 것으로 변한다. 하지만 감정은 시공간을 초월할뿐만 아니라 실존한다. ㆍ과학 과학은 왜 생겨났을까? 서로 다르게 느끼고 충돌하는 것을 막지 위하고자 함이.. 2021. 9. 20. 어떻게 올바른 방향으로 꾸준히 갈 수 있는가 1. 표제 210913 방향이 맞으면 가는 거다 (On the right track) 2. 사실 ㆍ우리는 결점이 많다. ㆍ문제를 안고 가고 있으며, 문제로 인한 비용적 손해가 크다. ㆍ시간이 걸려도 해결할 의지와 능력은 충분하다. ㆍ그 일을 해결하기 위한 의지가 확고하다. 3. 일반화 ㆍ문제가 없는 조직은 없다 -> 우리는 정상적이다. ㆍ문제를 해결하면서 우리는 성장할 것이다. ㆍ문제를 포기하는 것이 문제이지, 해결하려고 할 때 문제는 극복할 과제로 바뀐다. 4. 전용 ㆍ입사절차 만들기 면접 -> 이력서 수령 -> 직원 등록 -> 출근 절차 표준화 -> 근무시간 체크 (매일) -> 정산 -> 특이사항 반영 익일 이내 - > 월급계산 2021. 9. 14. 어떻게 기초를 다지고, 길을 찾을 것인가? 1. 표제 210911 ㆍ걷기 전에 뛸 수 없다. 어떻게 기초를 다지고, 길을 찾을 것인가? 2. 요약 ㆍ나의 그리고 모소의 상태는 걸음마 단계이다. 그렇기에 새롭게 시도할 것 조차 없다. 즉, 그냥 하면 된다. 물론 한계는 있다. ㆍ단순 cut cost가 아니다. ㆍ난 모소를 벤쳐 기업으로 만들고 싶다. 우리는 시도하고, 배우며, 진화를 선택할 것이다. ㆍ우리는 사명은 다른 이들이 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성과를 갖는 것이다. 3. 일반화 ㆍ갈 길이 멀고, 지치기에도 이르다. ㆍ비슷할 수는 있으나 똑같을 수는 없다. ㆍ단순히 돈만을 위한 혁신은 싫다. 이상과 꿈, 한계를 실험하고 확장하기 위한 걸음이 내가 가고 싶은 길이다. ㆍ'안돼' 보다는 '어떤 단계를 거쳐야지 가능한가' 라는 생각으로 그 단계를 면밀.. 2021. 9. 13. 목표점검 / 21년 4분기 Checking Goals / 21, 4qr 1_ Mastering freestyle-swimming / Regular weight exercise 2_ Uploading 1,000 books 3_ Stock holding 1.5 2021. 9. 12.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것인가? 1. 표제 21/09/03 문제해결능력 - 결국 창의력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운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것인가? 2. 요약 3. 일반화 4. 전용 ㆍ매일 문제는 발생한다 -> 문제에 직면해야 한다 -> 일단 듣고, 메모한다. 즉각적인 조치나 대답보다는 질문을 던지며 시간을 벌거나 혹은 확답을 미룬다. -> 확신이 생기면 빠르게 행동한다. ㆍ솔직히 나쁜 결과가 예상되는 일에 개입하고 싶지 않다 -> 모든 문제 해결은 어려움이 동반된다 -> 대가를 지불한다. ㆍ망설임은 늦은 행동으로 연결된다 -> 속도도 중요하다 -> 대답하거나 결심한 부분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서 행동한다. ㆍ개인 생산성은 해결능력이 좌우하다 -> 영향이 매우 크다 -> 생산성의 키인 만큼 해결 능력 향상에 노력한다. (명.. 2021. 9. 10. 벌초의 세계들 지난 주말에 벌초했다. 예초기의 프로펠러로 잡초들을 제거하면서 문뜩 든 생각은, 인간이 만든 것들을 제외하고는 자연에는 완벽한 직선이나 원형 같은 것은 없다는 점이다. 완벽한 기하학의 세상은 모두 인간들이 상상한 예술적 혹은 과학적 상상의 결과물이다. '예초기'는 인간이 만든 것이고, '잡초'는 인간이 만들지 않은 것이다. 이 차이점은 벌초작업을 더 힘들게 하는 이유들 중 하나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두 덩어리로 되어 있다. 하나는 인간이 만든 세상(문명), 다른 하나는 인간이 만들지 않은 세상(자연)이다. 플라톤은 세상을 두 덩어리로 나눈 점에 있어서는 세상에 변화를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역시 완벽한 원형 혹은 '구'가 아니다. '구' 모양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엄밀히 말.. 2021. 9. 9. 어떻게 물류 비용을 최적화 할 것인가? 1. 표제 21/09/07 비용발생이 늘 나쁜 것은 아니다. 어떻게 인사구조를 개편할 것인가? 2. 요약 ㆍ회사의 출하량은 늘어 나고 있다. ㆍ비용 상승(물류비 증가)이 옳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점검해야 할 시기이다. 3. 일반화 ㆍ매출과 선형적인 관계이 물류비 증가는 건강하다. ㆍ비선형적인 비용 발생은 관리해야 한다. ㆍ토탈 코스트를 고려한 물류 행위를 한다. 4. 전용 ㆍ물류비 항목 점검 1) 납품 (대비 매출량 비교) 2) 금형 (금형 이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3) 후가공 (거래 개시 시점에 체크 4) 부자재 (납기 관리) 합짐을 할 수 있는 방법 고려 ㆍ납기 조정 ㆍ생산 조정 ㆍ미리 협의하고 계획하는 행동이 중요 -> 서비스 수준과 비용 사이에서 통합적인 고려가 필요함 -> 단가, 시.. 2021. 9. 8.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