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778

5초의 법칙 / 멜 로빈스 '5초의 법칙'은 목표를 향해 행동하고 싶은 본능이 생기는 순간, '5-4-3-2-1' 숫자를 거꾸로 세고 몸을 움직이면 되는 것이다.   practice 5초의 법칙을 시작하는 법• 5초의 법칙을 가장 빨리 실행하는 방법은 내가 했던 방식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 변화는 간단하지만, 쉽지 않다.  • 아침에 잠자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내 인생에서 어떤 변화도 추구할 수 없다. 내 의지에 따라 아침을 통제하기 시작한다면 모든 영역의 변화로 이어지는 연쇄반응을 촉진하는 셈이다. 1부 5초의 법칙• 인생을 바꾸는 데 5초면 충분하다.  • 자신의 삶을 바꿔줄 한 사람을 찾고 있다면 거울을 보라.  • 5초의 용기로 모든 것이 바뀐다. 용기를 갖고 행동하면 뇌는 관여하지 못한다. 마음이 하는 말에 귀를 기.. 2025. 2. 12.
250212 수 - 84 2025. 2. 12.
250211 화 - 근력1.1/평로라1 2025. 2. 11.
코스모닝 408 2025. 2. 11.
250211 화 - 78 2025. 2. 11.
250210 월 - 근력1.5/평로라1 2025. 2. 10.
250210 월 - 81 2025. 2. 10.
250208 토 - 84 2025. 2. 10.
좋은 기분 / 박정수(녹싸) ㆍ우리는 모두 누군가를 대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들어가며 ㆍ모든 사물과 공간 사이에는 거의 예외 없이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만들어진 의도’가 있다는 점입니다. 인간이 만든 모든 것에는 저마다 나름의 의도가 있습니다. 자연과 인간이 함께 만들어낸 것들에도 명확한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그 의도가 드러나거나 숨겨진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누군가가 시간과 공을 들여 만들었기에 우리 주변에 이렇게나 많은 사물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의도란 목적이 분명한 생각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생활 속의 모든 것에 의도가 있다는 것은 곧 누군가의 생각이 현실에 구현되어 물질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ㆍ어차피 일에 절대적인 성공 공식이란 없고, 최고의 콘텐츠란 것도 사실 없습니다. 이미 지나간 성공서.. 2025. 2. 7.
알레르기 2025. 2. 7.
마흔 이후에 성공한 사람들 / 알랜 줄로 • 당신에게 끈기가 있다면, 중년은 실패한 곳에서 다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나이다. 당신이 과거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면, 미래에 힘을 얻게 될 것이다. 당신이 일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최상의 결과는 당신 속에서 나올 것이다.  • 자신의 내면에 있는 그 무엇이 보통 사람들보다 우월하다고 확신하는 사람들만이 위대한 업적을 이루었다.  • 나이는 문제 되지 않는다. 당신의 꿈에 집중하라. 그리고 어떤 것도, 그 어떤 것도 당신의 정신을 흩뜨리게 하지 말자.  • 나이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경험만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성공한 가장 큰 이유는 실패를 거부한다는 데 있습니다.  • 당신이 근근히 잡고 있던 것에서 과감히 손을 놓고 뛰어내리라. 그리고 죽을 힘을 다하라.  • 문제는, .. 2025. 2. 7.
집중의 힘 / 조슬린 K. 글라이 산만한 세상에서 그들은 어떻게 집중했는가? 전문가로 가는 첫 번째 단계는 하루 단 1시간이라도 앉아서 일하는 것전문가가 되려면 3단계를 거쳐야 한다. 1단계) 단 1시간이라도 단순히 자리에 앉아 일할 수 있는 단계이다. 언뜻 쉬워 보이는 1단계는 사실 100명 중 99명은 해내지 못하며, 프레스필드 자신도 이 단계에 도달하는 데 7년이 걸렸다고 한다. 2단계) 이 1시간을 그 다음날, 일주일, 한 달, 일 년으로 확장하며 반복하는 것이다. 3단계) 프로젝트를 시작해 완성한 단계이다. 3단계를 거쳐 하나의 작업을 끝내고, 그 다음 작업으로 넘어갈 때가 고비다. 만약에 첫 번째 작업에서 성공을 했다면, 그 다음은 현실에 안주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는 전문가란 자기 주변 또는 자기 .. 2025. 2. 7.
장소와 경험 / 제프 말파스 • 장소와 공간에 대한 연구를 우선 사람의 정체성과 장소의 관계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그것은 전략적 개념들―이면에 특정한 목적이 있는 도구들―로 다루어진다. 다시 말해 최소한 장소 개념과 공간 개념의 전략적 중요성 그것은 단순히 이분법적 대립이나 다른 개념들과의 관계 속에서 맡는 역할에서 비롯되는 것 같지는 않고, 그것들이 대체로 인간의 사고・경험・행위 등 어디에서나 나타난다는 사실에서 도출된다.• 장소는 공간과 시간이 연결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장소를 시간보다 공간에 더 긴밀히 연결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물질성이 공간적인 것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거라고 이해하서는 안 된다. 공간화는 언제나 시간화이며 또한 시간화는 언제나 공간화이다. 공간도 시간도 장소.. 2025. 2. 7.
문화가 중요하다 / 새뮤얼 헌팅턴,로렌스 E. 해리슨 • 사회의 정치 경제적 발달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문화가 중요한 요소이다. 저개발은 마음의 상태이다.  • 문화는 한 사회 내에서 우세하게 발현되는 가치, 태도, 신념, 지향성, 그리고 전제 조건이다 . • 문화는 독립된 변수가 아니라 다른 많은 요소들, 가령 지리와 기후, 정치, 역사의 변덕 등에 영향을 받는다.  • 문화는 어머니요. 제도 자식이다.  • 문화가 결정적 차이를 만들어 낸다.  • 보통 문화라고 하면 제도, 가치, 신념 등을 통틀어서 말하는 개념이다. 그런데 이 문화가 인간의 행동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가, 주, 지역, 대도시, 회사 등 다양한 수준의 발전 양태에서 문화의 작용은 명백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핵심은 문화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고 물어 보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번.. 2025. 2. 7.
신뢰의 속도 / 스티븐 M. R. 코비 관념과 이론의 벽을 깨고 나온 실천적 신뢰에 몰입하라• 신뢰는 거래비용을 줄여주고 소송의 필요성을 낮춰주며 거래 속도를 높여 준다. • 신뢰를 키우고 그것을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리더십의 도전 과제이다. • 신뢰는 성장의 속도를 높이는 원동력이다. 또한 기업과 개인의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힘이다. 신뢰가 높으면 성공은 빨라지고 커지며 비용은 낮아진다. • 신뢰는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주춧돌이자 영속적인 관계를 지탱하게 하는 접착제이다. • 신뢰는 아름다운 성과다. • 신뢰의 수준이 문제 해결 속도와 정비례한다. • 높은 신뢰는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고 팀워크를 강화시키며 모두가 자발적으로 일하게 만든다. 1부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한 가지 • 신뢰의 속도만큼 빠른 것은 없다.• 빠르지 .. 2025. 2. 7.
공장인의 길 / 트레바리 나는 중소 제조업체에서 일하고 있다. 지금 일하고 있는 회사에 입사하기 전, 단 한 번도 플라스틱 공장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은 해 본 적이 없다. 지금의 회사에 원해서 들어온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렇게 오래 일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그래서였을까?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수없이 나 자신에게 질문했다. '난 왜 여기 있는가?', '나는 누구인가?' 지금 돌이켜 봤을 때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그 질문들에 명료하게 답변할 순 없어도, 최선을 다했다는 것이다. 단 하루도 불량 안 내지 않으려고 최선을 다했다. 최선은 한계를 유지한다는 말이다. 왜 최선을 다했을까?  삶이 힘들면 의미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 아프리카에서 살 때 배운 것이다. 물에 빠진 사람은 가라앉지 않기 위해 발버둥 쳐야 한.. 2025. 2. 7.
중년선언 / 트레바리 46세가 됐다. 46억년의 지구의 역사보다 더 황당한 신비다. 내가 아저씨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중년이라는 사실은 최근이 되어서야 발견했다. 중년은 청년과 노년의 중간인가? 생각해보면, 중년도 얼마 안 남았다. 무어의 법칙 같은 이 시간의 속도라면, 늦지 않게 죽음을 준비해야 할 것 같다. 중년이라면 적어도 절반 이상은 산 셈이다. 그 절반 동안 난 소중한 가족을 꾸렸고, 안정적인 직장에 소속되어 있으며,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 중간 치고는 남들하는 건 잘 흉내내면서 살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남은 후반전은 남들이 흉내 내지 못하는 것들을 하면서 살고 싶다. 넘버 원 말고 온리 원의 삶이랄까? 넘버 원은 타인이 만든 규칙에서 최고가 되어야 하지만, 온리 원은 내가 만든 규칙에서 최선을 다하면 된다.. 2025. 2. 7.
240207 금 - 91 2025. 2. 7.
With IBK 474 • 굳이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사람을 알아가는 좋은 대화'에는 질문보다 경청이 더 중요합니다. 정보와 지혜가 넘쳐나고, 사회 갈등이 고조된 현대 사회에서 현명한 소셜 애니멀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경청력'만큼 훌륭한 탤런트가 없는 것 같습니다.  • 잘 듣는 몸이 된다는 것은 온몸으로 시그널을 발사하는 겁니다.  •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들으려면, 상대를 정보가 아닌 서사로 보아야 합니다. 상대를 정보로 보면 내 질문이 앞서고, 내 질문에 좋은 답을 하지 않으면 모자라거나 하찮아 보입니다. 상대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어주면서, 그 사람이 자기 서사의 구조를 갖춰다도록 돕습니다. 그렇게 시간을 주면 대체로 본격적인 질문을 던지기 전에 이미 상대가 제가 던질 질문의 대부분을 말한 상태가 됩니다. 상대를 이야기.. 2025. 2. 6.
장업신문 1533 2025. 2. 6.
화장품신문 1640 2025. 2. 6.
250206 목 - 87 2025. 2. 6.
코스모닝 407 2025. 2. 5.
250205 수 - 89 2025. 2. 5.
250204 화 - 근력0.5/스크린3 2025. 2. 4.
250204 화 - 87 2025. 2. 4.
250203 월 - 82 2025. 2. 4.
중요한 건 마음이 아니라 마음가짐이다. What matters is not the mind, but the mindset. 2025. 2. 3.
250203 월 - 평로라34 2025. 2. 3.
250202 일 - 근력1/트레드밀12 2025.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