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진정성이라는 거짓말 / 앤드류 포터

by mubnoos 2025. 3. 28.

 

 
 
 

진정성이라는 용어


• 진정성을 진실성이나 실재성과 동격에 놓는 것은 일을 더 혼란스럽게 만든다.

• ‘그렇게 보임’과 ‘정말로 그러함’ 사이의 구별 - 진정성 여부는 어떤 진실에 대한 우리 지식에 의존한다.

• 진정성 추구는 상실된 화합을 복구하려는 시도다.

• 진정성 같은 건 존재하지 않는다.



1장 근대성이라는 질병


• 낭만주의는 근대세계가 야기한 소외를 초월하고 완화하고 인생에서 옳고 가치 있는 것들을 복구하고자 했다. 그 핵심 인물이 장 자크 루소다.


2장 순진한 원시주의로의 회귀


3장 예술적 아우라를 소비하는 사람들


 


4장 과시용 진정성


• 과시용 진정성은 유혹적이고 매력적이다. 과시가 유효하려면 최소한 외관상 유용하거나 사회적으로 유익한 모습을 띠어야 한다. 즉 본의를 숨기고 마치 다른 목적을 지닌 듯한 외양을 연출한다. 여기서 본의란 지위 추구다. 과시용 진정성은 진정함 찾기에 극도의 엄숙함을 부여하는 강수를 둔다. 그것은 내게 뜻있는 삶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회, 환경, 심지어 전 지구에 좋은 일이 된다. 개인에게 이익이고 도덕적으로도 가상한 일거양득 상황은 진정성이라는 거짓말의 핵심적인 속임수다. 공사일치의 욕망은 왜 진정성 있는 생활방식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하나같이 박애주의의 이미지로 장식되는지 설명해준다. 그러나 지위 지향적 행위는 결국 언제나 정체가 드러난다.  
 


5장 투명성의 위험


• 표절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면 자기를 거짓되게 표현한다는 점이다. 사실 많은 면에서 표절은 위작의 반대다. 위작자는 자기 것을 남의 것인 양 하는 데 반해, 표절자는 남의 것을 자기 것인 척한다. 표절이나 위작은 돈 문제이면서 도덕의 문제이기 때문에 관심을 둔다. 우리는 도덕의 문제를 성실성, 고유성, 진실성, 독창성 등의 이름으로 부르지만, 동력이 되는 원천은 이른바 진정성의 윤리다. 진정성은 무엇이 표절이냐 아니냐에 대한 판단을 돕는 역할을 한다. 독창성이 문제될 때, 문제된 작품의 원작자가 누구인지가 중요할 때 우리는 표절 문제를 따진다.

• 문제는 독창성이 요구될수록 점점 더 독창적이기 어려워진다는 점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거짓말을 하거나 아이디어의 출처를 감추게 된다.  
 


6장 진정성 있는 제게 한 표를


• 상표화의 역설은 실체가 복잡할수록 메시지는 더욱 단순화진다는 사실이다.
 


7장 문화는 관광객용


 


8장 역사의 종언


• 끊임없는 발명과 창조 욕구는 권태로부터 도피하려는 욕망에서 비롯된다.
 



맺으며 다시, 진보


• 진정성 허구의 중심에는 나한테 좋은 것이 사회에도 좋고 지구에도 좋을 것이라는 전제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