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777

250220 목 - 92 2025. 2. 20.
250219 수 - 근력1/평로라1 2025. 2. 19.
250219 수 - 90 2025. 2. 19.
와일드 로봇 / 피터 브라운 • 로즈는 생존 본능을 느꼈다. 그 본능은 위험에서 벗어나게끔 컴퓨터 뇌에 설정되어 있었다. 자신의 몸을 지키고,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였다. • 로즈는 자기가 어떻게 섬에 오게 되었는지 전혀 모른다. 2025. 2. 18.
250218 화 - 평로라1 2025. 2. 18.
역전하는 법 / 빌 퍼킨스 "우리의 시간은 유한하고, 죽어서는 아무것도 가져갈 수 없다." 이렇게 묻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생명 에너지가 쇠락하기 시작할 때까지 왜 기다리고 있습니까?" 어차피 평생 다 쓰지도 못할 돈을 단지에 꽉꽉 채워 넣는 데만 집중하기 보다 지금 당장 자신의 인생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기억에 남을 인생 경험을 추구하고, 자녀들이 가장 잘 쓸 수 있는 시기에 돈을 증여하고, 여러분이 살아 있을 때 자선 단체에 돈을 기부하세요. 그게 바로 인생을 사는 방법입니다. 기억하세요. 인생이라는 비즈니스는 추억의 획득이 목적입니다. 그런데 왜, 아직도 기다리고만 있나요?  한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당장 긍정적인 전망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현실에서 사람들의 초점은 돈을 모으고 자산을 불리.. 2025. 2. 18.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 / 박소연 “일하는 시간이 불행한데 삶이 만족스러울 수 있을까?” 프롤로그 _ 일하는 시간이 불행한데 삶이 만족스러울 수 있을까?• 단순함이 궁극의 정교함이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 • 일은 시지프스 왕의 형벌인 절벽 위에 바위 올리기처럼 오직 고통과 괴로움으로 가득한 것일까요?• 지금까지 우리를 지치고 기진맥진하게 만든 방식은 이렇습니다. “불안해서 바쁘게 삽니다. 이것저것 하면서요.”• Stay Simple. Accomplish More. PART 1. 일 잘하는 사람들은 단순하게 합니다• 집중과 단순함, 이게 바로 제 신조 중 하나입니다. 단순함은 복잡함보다 어렵습니다. 자기 생각을 정돈해서 단순하게 하려면 굉장히 노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럴 가치가 있죠. 일단 단순함에 도달하기만 하면 산을 옮길 수 있.. 2025. 2. 18.
생성형 AI가 바꾸는 메타버스의 미래 / 정지훈 프롤로그• 기술의 변화를 단기적인 시각으로 유행에 따라 바라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기술은 개발과 발전, 초기 상용화 단계를 거쳐 누구나 쓰게 되면서 삶 전체를 바꾸기까지 짧게는 10년, 길게는 수십 년의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기에 장기적인 시각으로 하나의 기술 용어가 아니라 여러 기술이 동시에 시너지를 일으키면서 변화와 발전을 만들어가는 전반적인 그림을 볼 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장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메타버스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디지털 세계와 아날로그 세계의 차이를 아는 것입니다. 결국 메타버스는 아날로그로 이루어진 현실 세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 세계와 연결하고자 탄생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디지털 세계와 아날로그 세계의 차이가 너무나 크다는 것입니다. .. 2025. 2. 18.
생각은 죽지 않는다 / 클라이브 톰슨 스마트 기기가 인간의 집중력을 무너뜨리고,깊은 생각을 방해하며, 지능마저 떨어뜨린다…이 말은 과연 진실인가? • 새로운 툴은 우리가 무엇을 생각할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생각할지까지 결정한다. 1장_ 켄타우로스의 등장• 인간은 실수를 하지만 컴퓨터는 실수하지 않는다. • 체스에서 인간과 컴퓨터 중 누가 더 똑똑한가? 어느 쪽도 아니다. 더 똑똑한 쪽은 둘이 함께 손잡은 팀이었다. • 인식론의 확장된 정신이론은 인간이 틀을 사용하여 사고의 범위를 보다 난해한 영역으로 넓혀가며 인지적 정보들을 아웃소싱했기 때문에 지적으로 우세할 수 있었다. 종이와 펜만 있으면우리는 머릿속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이런 자원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증강되지 않는 두뇌로는 엄두를 내기 어려운 데이터와 아이디어를 능.. 2025. 2. 18.
250218 화 - error 2025. 2. 18.
250217 월 - 근력1.2/평로라1 2025. 2. 17.
트레바리 파트장 나는 누구일까요? 이렇게 오랜 시간 동안 답변하기 어려운 난제라면 혹시 정답이 없는 건 아닐까요? 나만의 고유하고 특별한 정체 같은 것은 원래부터 없는 것은 아닐까요? 난 그냥 나인데, '난 그냥 나' 라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답을 이미 알고 있는데도 특별한 의미를 찾아, 자꾸 스스로 자기기만을 만들고 부수고 반복하는 것은 아닐까요? 살아있다는 것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갱신하는 과정, 그 움직임 아닐까요? 나의 정체는 여전히 모호한 우주 혹은 애매한 신비입니다. '단 한 번 만이라도 명쾌하다고 말할 수 있다면 모든 것이 구원될 것이다.' 알베르 카뮈가 한 말입니다. 무언가를 찾으려고 사람에게는 확실한 것 단 하나만 있으면 그것으로 족합니다. 명료성(Clarity)은 힘입니다. 데카르트도 .. 2025. 2. 17.
화장품신문 1641 2025. 2. 17.
코스모닝 409 2025. 2. 17.
양념장 레시피 2025. 2. 17.
250217 월 - 90 2025. 2. 17.
250215 토 - 81 2025. 2. 17.
250214 금 - 근력0.2/평로라1/런닝1 2025. 2. 14.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 스티븐 레비츠키,대니얼 지블랫 1장 패배에 대한 두려움• 패배를 받아들이고 권력을 평화적으로 넘져주는 규범은 오늘날 민주주의의 근간이다. 어떻게 패배를 받아들익는 규범을 유지할 수 있을까? 이를 위해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1. 앞으로 다시 승리할 기회가 얼마든지 있다고 생각할 때, 정당은 패배를 더 쉽게 받아들인다. 2. 권력 이양이 재앙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다.  • 정당이 두려움을 느낄 때, 즉 앞으로 다시 승리할 수 없을 것이며, 무엇보다 하나의 선거를 넘어서 더 많은 것을 잃어버릴 것이라고 두려워할 때, 패배를 받아들이기는 더 힘들어진다. 정치인들이 패배를 지지 기반에 대한 존재적 위협으로 느낄 때, 그들은 권력 이양에 필사적으로 저항할 것이다.  • 두려움은 때로 사회를 독재로 되돌리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2025. 2. 14.
사람은 분위기가 90% / 다케우치 이치로 사람은 겉모습으로 판단한다. • 내용보다 누가 말했는가가 중요하다.   1화: 사람은 겉모습으로 판단한다• 햄위는 말보다 힘이 세다.  • 말은 7%밖에 전달하지 못한다.  • 수염은 본래가 위엄의 표현이다. 수염은 기본적으로 콤플렉스의 표시이다. 자신을 실제보다 위로 보이게 하고 싶은 심리가 수염으로 나타난다. 수염은 주변에 위압감을 주는 작용을 한다.  • 자신 없음을 무리하게 덮어 가리기보다는 약점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편이 일반적으로 호감을 갖게 한다.   2화: 동작의 법칙• 오버 액션은 경박하다.  • 바람잡이는 세 사람 이상이 필요하다.  • 유능한 경영자는 사무실에 틀어박혀 있지만은 않는다. 현장을 좋아하고 현장에 자주 나간다. 무능한 사람은 의자에 궁둥이를 찰싹 붙이고 싶어한다. 그래야 위.. 2025. 2. 14.
발표의 정석 / 박승주 배우고 연습만 하면 누구나 발표의 달인이 될 수 있다Part 1 발표를 잘하기 위한 가장 쉬운 몇 가지 방법• 발표에 대한 오해1. 발표를 많이 해보지 않으면 발표를 잘 못한다. 2. 발표력은 선천적이다. 3. 발표를 잘하기 위해서는 달변적이어야 한다. 4. 발표에 실패하면 무능력자로 낙인찍힌다.  • 발표의 개요서1. 제목을 정한다. 2. 방향을 결정한다. 3. 목표는 무엇인가?4. 발표자 자신에 대해 분석한다. 5. 청중을 파악한다. 6. 의사결정자를 파악한다. 7. 시간 분배에 신경 쓴다. 8. 발표 장소를 고려한다.  • 발표 자료 만들기 원칙1. 한 장의 슬라이드에는 하나의 메시지만을 사용한다. 2. 글자는 크고 문장은 간단하게 한다. 3. 통일된 규격을 갖춘 자료가 발표의 효과를 높인다. 4... 2025. 2. 14.
미스빌리프 / 댄 애리얼리 우리는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잘못된 믿음을 갖고 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악마가 되다• 정신노동을 회피하려는 목적 앞에서 사람들은 자기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편법을 동원한다. • 어쩌면 우리 모두에게 가장 유용하고 또 희망을 주는 출발점은 이해와 공감이 아닐까 싶다. Part 01 잘못된 믿음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사람들은 세상을 온전하게 이해하려고 하는 과정에서 어떤 이유에서든 간에 잘못된 믿음의 깔대기에 빠졌고 또 그 과정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다. • 잘못된 믿음의 깔대기는 놀랍고도 복잡한 현상이다. 사람들은 일련의 의견과 믿음 덩어리를 가지고 깔대기 안으로 들어가지만, 결국 처음과는 매우 다른 일련의 의견과 믿음을 만난다. • 잘못된 믿음의 깔대기는.. 2025. 2. 14.
기호와 상징 / 미란다 브루스 미트포트, 필립 윌킨스 • 우리는 기호를 보고 그것이 무엇을 전달하려는지 단박에 그 메시지를 알아차린다. 한편 상징이란 시각적 이미지, 또는 어떤 생각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기호를 말한다.  • 기호란 그 기능 면에서 매우 직접적이다. 기호는 글이나 시각적 언어로 구성된다. • 상징이란 시각적 이미지, 또는 어떤 생각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기호로서 보편적 진리를 보다 깊이 있게 전달하는 체계다. • 모든 사물을 진리나 좀 더 깊은 차원으로 보게 되면, 주변 모든 존재의 내/외적 이중적 본질을 깨닫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물은 끊임없이 형태를 바꾸면서 변화한다. 물은 상징적으로 여성성을 나타내며, 달과 관련이 있다. 모든 생명의 근원으로서 풍요를 뜻한다.  • 모든 것을 태워 버리는 불은 끔찍한 파괴자다. 불은 전쟁과 혼돈의.. 2025. 2. 14.
장업신문 1534 2025. 2. 14.
250214 금 - 90 2025. 2. 14.
스크래치 이슈 스크래치 이슈어두운 색상의 제품은 1) 제품 생산  2) 후가공  3) 납품 이동의  공정상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공정 1)  생산1-1) 금형의 손상 : 미각기나 팟핑 라인 관리 등, 금형 유지 보수  1-2) 생산 포장 시 : 작업자 교육 및 검수 1-3) 포장재 마찰 : 비닐, 발포지 그리고 장갑 등의 기타 부자재와 마찰을 줄이기 위해 환경 개선 및 작업자 교육 공정 2)  후가공2-1) 인쇄 지그와 마찰: 인쇄 영역 조절 및 작업자 교육 및 검수 2-2) UV 건조 낙하 / 코팅 공정: 건조 후 제품이 떨어지는 하도에 인원을 추가로 배치스크래치 최소화 및 검수 2-3) 포장 시 제품 마찰: 작업자 교육 및 검수공정 3)  제품 이동3-1) 이동 : 수작업 이동 제한 및 내부 자키로 운반 3-.. 2025. 2. 13.
250213 목 - 87 2025. 2. 13.
250212 수 - 평로라1 2025. 2. 13.
보드게임 https://brand.naver.com/koreaboardgames/products/5367054497?n_media=27758&n_query=%EB%8B%A4%EB%B9%88%EC%B9%98%EC%BD%94%EB%93%9C&n_rank=1&n_ad_group=grp-a001-02-000000046010799&n_ad=nad-a001-02-000000328914993&n_campaign_type=2&n_mall_id=kboardgame&n_mall_pid=5367054497&n_ad_group_type=2&n_match=3&NaPm=ct%3Dm71n60dw%7Cci%3DER4d061377%2De91a%2D11ef%2D928c%2Df0b2b90037d8%7Ctr%3Dpla%7Chk%3Db0294bc45.. 2025. 2. 12.
5초의 법칙 / 멜 로빈스 '5초의 법칙'은 목표를 향해 행동하고 싶은 본능이 생기는 순간, '5-4-3-2-1' 숫자를 거꾸로 세고 몸을 움직이면 되는 것이다.   practice 5초의 법칙을 시작하는 법• 5초의 법칙을 가장 빨리 실행하는 방법은 내가 했던 방식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 변화는 간단하지만, 쉽지 않다.  • 아침에 잠자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내 인생에서 어떤 변화도 추구할 수 없다. 내 의지에 따라 아침을 통제하기 시작한다면 모든 영역의 변화로 이어지는 연쇄반응을 촉진하는 셈이다. 1부 5초의 법칙• 인생을 바꾸는 데 5초면 충분하다.  • 자신의 삶을 바꿔줄 한 사람을 찾고 있다면 거울을 보라.  • 5초의 용기로 모든 것이 바뀐다. 용기를 갖고 행동하면 뇌는 관여하지 못한다. 마음이 하는 말에 귀를 기.. 2025.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