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세기 성공으로 가는 길은 바로 이것이다.
첨단기술로 인간을 대체하려 들지 말고, 인간의 역량을 강화하라. 세계가 안고 있는 가장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라. 20세기에 유용했던 해결책이 이제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현실을 이해하고, 지금 가능한 것이 무엇인지를 바탕으로 산업과 경제를 대담하게 다시 생각해보라. 지금 확보한 가치보다 큰 가치를 창출하라.
• 진정한 유니콘의 특징
1. 처음에는 믿을 수 없는 기술 같다.
2. 세상이 돌아가는 방식을 바꿔놓는다.
3. 새로운 서비스, 직업, 비지니스 모델, 산업으로 구성된 생태계를 형성한다.
PART 1 올바른 미래 지도를 그려라
• 역사는 반복되지 않지만 리듬이 있다. - 마크 트웨인
• 그저 우연히 일어나는 일이란 없다. 일은 사람이 한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결정이다.
• 미래는 이미 여기에 와 있다. 아직 모든 사람이 인식하고 있지 못할 뿐이다.
• 현재보다 나은 미래 경제를 만들려면 노동자에게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노동자를 증강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인간이 하던 일이 계속 자동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어떻게 인간을 증강시켜 새롭고 가치 있는 일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을까?
• 새 지도를 충분히 제대로 그리려면 미래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과거에 대한 인식도 수정해야 한다. 과거에 상상도 할 수 없던 일이 이제 일상의 일부분이 되었고, 그것이 한때 많은 가능성 중 하나였다는 사실을 기억해 내기란 쉽지 않다.
•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하라.
• 진정으로 파괴적인 혁신 서비스는 익숙한 과정을 단지 디지털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익숙한 과정마저 필요 없게 한다.
PART 2 플랫폼으로 사고하라
• 익숙함이 눈을 가린다.
•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할 때 더 빨리 진화할 수 있는 단순한 분산형 시스템이 복잡한 중앙집중형 시스템보다 효과적이다. 규칙이 단순한 전체 프레임워크 내에 각각의 분산된 구성요소는 적합도 함수를 스스로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구성요소는 스스로 재생샌해 확산되고, 그렇지 않은 구성요소는 소멸하게 된다.
• 네크워크와 개체 간 죠율 성공 여부는 해당 시스템의 설계에 달려 있다.
• 우리는 또한 좋은 앱을 만드는 것이 좋은 규칙을 만드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배웠다.
PART 3 알고리즘이 지배하는 세상
• 그 희망이란 이런 것이다. 머지 않아 인간의 두뇌와 컴퓨터가 매우 긴밀하게 결합되고, 그 결과 인간의 두뇌만으로 생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생각하며, 오늘날 우리가 아는 정보처리 장치가 접근하지 못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라라는 것이다.
• 딥 러닝은 인식의 층을 사용한다. 개를 인식하기 전에 형태를 인식해야 하고, 형태를 인식하기 전에 가장자리를 인식해야 배경에서 형태를 구분할 수 있다. 인식의 연속 단계는 압축된 수학적 표현을 만들어 다음 층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핵심은 올바른 압축을 얻는 것이다. 너무 많이 압축하면 현상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없어 오류가 생긴다. 그렇다고 또 너무 적게 압축하면 네트워크는 훈련 샘플을 완벽하게 기억하지만, 새로운 입력을 잘 일반화하지 못한다.
• 최소한의 정부가 최고의 정부라고 했다. 안타깝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법의 지배가 없다면 변덕스러운 권력은 소수의 권력자에게 이익의 되도록 규칙을 정한다. 최소한의 정부의 진짜 의미는 법을 소수의 이익에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소수의 이익에 맞춘 경제의 법은 다수에게는 불리하다. 다수의 이익에 맞춘 경제는 소수에게 불리해 보일 수 있지만 정치 질서나 경제 질서를 위한 최선의 규칙 - 그 규칙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이 선택하는 것 - 다수를 위해 통치하는 정부가 최선이라는 면에서 설득력이 있다.
• 근본적인 문제는 한때 인간이 상품과 서비스를 교환할 때 하인으로 기꺼이 도움을 주던 금융시장이 이제는 주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금융시장이 다른 모든 집단지성의 주인이라는 점이다.
PART 4 미래는 우리 손에 달렸다
• 사람이 중요하다는 새로운 규칙을 세우자.
• 지식을 몰래 쌓아두지 않고 나누는 것은 경쟁우위에 설 수 있는 강력한 지렛대이기도 하다. 회사는 혁신으로 생긴 이익을 더 많이 차지할 최선책이 소유권이라고 지레짐작하기 일쑤다. 하지만 리눅스와 인터넷을 만든 오픈소스의 선구자들이 알려주었듯이, 지식은 나눌 때 더 크게 불어난다.
• 우리가 새로운 지도를 바탕으로 일하려 한다면, 그리고 사람이 애쓴 수고를 배제하지 않고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이 목적이라면, 반드시 보살핌에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 우리가 만들어낸 가장 위대한 발명품은 사람에서 사람에게로 불을 퍼뜨리게 한 능력, 곧 언어였다. 사회는 지식을 포용하고 넓게 공유하는 시기에 발전하고 부유해진다. 그리고 지식이 사장되거나 무시될 때는 가난해진다.
• 미래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열쇠는 기존 지식이 도구에 내장될 때, 다른 지식이 있어야 그 지식을 이용할 수 있고, 그밖에도 다른 지식이 있어야 더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능력을 증강하고자 도움닫기를 할 때, 배움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다.
• 그렇다면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1. 돈보다 중요한 것에 집중하라.
2. 확보한 가치보다 큰 가치를 창출하라.
3. 긴 안목윽 지녀라.
4.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꿈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