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기

어떻게 주체성을 작동시킬 것인가 / 미러링

by mubnoos 2021. 8. 11.
728x90

1. 표제 (날짜)

 

21/08/11

나의 미러링 효과

 

어떻게 주체성을 작동시킬 것인가


2. 요약(사실)

  • 절제되지 않은 행동과 우유부단한 모습을 자주 노출한다.
  • 끈기 있게 목표를 향해 나가는 모습 대신 누군가를 모방한다.
  • 비전과 명확한 목표 대신 추상적이고 난해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3. 일반화(규칙)

  • 나는 누군가의 멘토이자 롤모델이다.
  • 동생은 형의 행동을 모방하거나 무분별적으로 추종할 수 있다.
  • 직책이 높은 나는 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 직원들에게 있어 대표란 단순한 개인 이상의 대표성을 갖는다 - 직원과 내부자(가족 포함) 이미지를 관리 해야 할 대상이다.

 

 

 

  • '거울':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물건'

1) 빛의 영역으로 나온다.

2) 내 모습을 바라본다. 

3) 내가 원하는 모습을 바꾼다. 거울의 모습을 바꿀 순 없다.

 

  • 주체성이란 그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본인이 느끼는 방식과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반응하는 방식을 모두 바꿀 수 있다는 감각이다.
  • 내가 어떤 모습을 원하는가에 대한 답변을 얻기 위한 시도들은, 의무나 규범적으로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선택의 여지와 가능성들을 열어주면서 소망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 Mirroring의 목적은, 상대방과 동질감을 유발하고 좀 더 깊은 관계형성을 하는 것이다. Mirroring의 방법은 자신을 바꾸고, 타인의 것을 인정하는 하는 것이다.

 

 

 

 


4. 전용(행동)

  • 긍정적 메시지 전달에 집중
    1) 비전제시 2) 목표제시 3) 긍정적 미래제시
  • 실제 있어났으면 하는 좋은 일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 개인의 생활을 절제한다.
    1) 운동 2) 루틴: 규칙적인 출근과 예측가능한 일과 진행
  • 작은 성취와 성과를 공유하고 상대방의 성취에 진심으로 기뻐한다.

 

 

1. 원하는 이유 WHY

2. 무엇을 원하는지 WHAT

3. 어떻게 하는지 HOW

  • 주체성: 위의 과정은 순서에 따라 연쇄적으로 작용한다. 거울 앞에 설 때마다 점검한다.
  • 관계성: 미러링은 개인이 아니라 상호적인 개념이다.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법에 대해서도 위의 순서는 동일하다. 그들이 왜, 무엇을 원하는지 생각해본다.

 

 

 

 

 

 

 

 

 

 

 

728x90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무엇을 어떻게  (0) 2021.08.12
어떻게 회복탄력성을 작동시킬 수 있는가  (0) 2021.08.11
장례식과 멸종  (0) 2021.08.11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0) 2021.08.06
재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0) 2021.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