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이미지로 글쓰기 / 이주은

by mubnoos 2022. 11. 2.

 

ㆍ이미지를 보고나서 무언가를 떠올리고, 그것을 가지고 논의하기 위해서는 언어작업이 필요해요. 언어 아닌 것으로 표현된 대상을 접하지만 그에 대한 생각들은 언어로 풀어내야 하는겁니다. 공부는 결국엔 글쓰기로 수렴돼요. 글을 통해 동의나 공감을 확보하지 못하면 혼자만의 생각은 아무리 기발할 지라도 사라지기 쉬우니까요. 

 

 

1부 어떤 이미지를 선택하면 좋을까?


1. 이미지가 있는 곳 찾아다니기
2. 이미지의 종류별 특성 파악하기
3. 나만의 프레임으로 바라보기

 

ㆍ누가 보아도 희귀하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것이라면, 특별히 설명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작품 자체를 직접 눈으로 보기만 해도 그 위대함이 어디서 나오는지 발견할 수 있을 테니까요. 

 

ㆍ미술작품은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 만든 것입니다. 삶이란 하나의 단어, 하나의 문장으로 단순화시켜 말할 수 없는 아주 복잡하고 복합적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방식 또한 입체적인 것이 좋겠어요. 어떤 하나의 정답을 유도하기보다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전시가 더 바람직하다 할 수 있어요. 물론 감상에 있어 하나의 표준을 제시하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똑같은 의견을 가지게 할 목적으로 교육을 해서는 안 됩니다. 예술 분야는 특히 더 그래요. 

 

ㆍ공감을 자아낼 수는 있지만,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공감을 얻어내야 하지요. 만장일치에 도달하는 것이 미술교육의 목표가 될수는 없습니다. 

 

ㆍ그림을 감상할 때는 설명을 읽기 전에 그림을 먼저 쳐다보세요.

 

ㆍ산과 강과 들을 자연풍경이라고 한다면, 거리와 그리고 사람들은 도시풍경이라고 구분할 수 있죠.

 

ㆍ영화를 제작할 때 무엇을 무엇에 신경 쓰는가? 끝을 내는 것이다. - 카우프만

 

ㆍ꽉 찬 것 같은 덩어리가 주는 묵직한 느낌을 양감이라고 한다. 

 

ㆍ만화의 요소

1. 그림

2. 언어

3. 컷(잘려진 칸)

 

ㆍ디자인이란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설계하는 일이에요. 

 

ㆍ디자이너의 요건

1. 혁신을 좋아합니다. 

2. 상상한 것을 실제로 이루어지게 하는 발명가입니다. 

3. 일상 속에 재미를 선물합니다. 

4. 아름다움을 추구합니다. 

 

ㆍ요즘에 나오는 동화나 연극, 영화 중에는 원래 잘 알려진 이야기에서 주인공을 바꾸어 새로 내용을 엮은 것이 많습니다. 이를 스핀오프라고 합니다. 

 

 

 

 

 

 

 

 


2부 이미지에서 무엇을 떠올릴 수 있을까?


1. 해석의 단서를 이미지 속에서 찾기
2. 오래 쌓여온 상징성을 추적하기
3. 모티프를 핵심어로 발전시키기

 

ㆍ이미지로 글쓰기는 본 것에서 단서를 얻어 작성하기 시작하지만, 결코 본 것에만 머물지 않지요. 방대한 상식과 풍부한 상상력, 그리고 직간접적인 다양한 경험을 동원하여 이미지의 안과 밖을 들락거리며 작업해야 한답니다. 

 

ㆍ모티프란 이야기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나 단위를 뜻하는 말로 화소라고 번역할 수 있어요.

 

ㆍ그럴듯하다는 말은 잠들지 않은 상태에서, 즉 꿈이 아닌 일상에서 그 일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뜻이지요. 그걸 개연성이라고 부릅니다. 

 

 

 

 



3부 어떤 방식으로 글을 구성할까?


1. 초점에 맞추어 도입전략 짜기
2. 주제에서 의미 도출해내기
3. 글의 성격에 알맞게 마무리하기

 

ㆍ글의 출발은 언제나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어야 합니다. 

ㆍ조금은 은밀한 이야기의 힘

자랑스러운 에피소드보다는 입 밖에 꺼내지 쉽지 않은 조금은 은밀한 이야기가 더 흡입력 있게 읽힙니다. 물론 억지스럽게 꾸미지는 마세요. 별 것 아니더라도 가식이나 과장이 드러나는 순간 글 전체 내용에 대한 신뢰도가 급강하하게 되니까요. 

 

ㆍ언어는 그 언어 사용자의 생각을 구획하는 역할을 합니다. 

 

ㆍ주제와 의미는 같지 않습니다. 의미는 글 쓰는 이가 찾아내야 하는 것이죠. 

 

 

 

 

 



4부 전달력 있는 표현을 하고 싶다면?


1. 독자의 특수성을 고려하기
2. 이야기 구조에 편승시키기
3. 숫자와 데이터를 적절히 제시하기

 

ㆍ부캐는 한 사람의 내면에 주가 되는 자아가 아닌, 부가 되는 또 다른 자아들이 있다는 차원에서, 대체자아 alter ego라든가 자아정체성 개념과 연결하여 이해하기도 해요. 

 

ㆍ재미있는 것은 사람을 저절로 다가오게 만들어요. 물론 거기서 흥이 다하면 저절로 다른 것으로 옮아가게 합니다. 재미란 자기도 모르게 느꼈다가 사라지는 것이지, 재밌게 놀아봐야지 하고 결심한다고 해서 성취할 수 있는 건 아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