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계몽이란 무엇인가?
뫼젠: 시민들의 계몽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1783)
멘델스존: 계몽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1784)
ㆍ교양은 '문화'와 '계몽'으로 나누어진다. 문화는 다분히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느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계몽은 이론적인 문제와 더 많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계몽은 인간생활의 제반 문제에 대해 그것이 인간의 본분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성의 척도에 따라 이성적으로 인식하고 숙달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ㆍ한 나라의 언어는 학문을 통해 계몽에 도달하고 사회적 교류와 시와 원활한 소통을 통해 문화에 도달한다. 언어는 계몽을 통해 더 능숙하게 이론적 도구로 사용되고, 문화를 통해 더 능숙하게 실용적 도구로 사용된다. 둘이 합쳐질 때 비로소 언어는 교양의 품격을 얻게 된다.
ㆍ인간으로서의 인간은 문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지만 계몽을 필요로 한다.
칸트: 계몽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답변(1784)
ㆍ계몽이란 인간이 스스로의 잘못으로 초래한 미성년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빌란트: 계몽에 관한 여섯 가지 질문(1789)
바르트: 계몽의 다양한 개념(1789)
하만: 크리스티안 야코프 크라우스에게 보낸 편지(1784)
제2부 사상과 언론의 자유
클라인: 사상과 출판의 자유에 대하여: 군주와 위정자와 문필가들을 위하여(1784)
바르트: 언론의 자유와 그 한계: 통치자와 검열자와 작가를 위한 고려사항(1787)
ㆍ계몽은 스스로 생각하는 배우는 것이다.
ㆍ생각의 자유는 인간의 보편적 진리이다. 말과 글로 표현할 자유 역시 생각의 자유 못지않게 인간의 보편적 권리이다.
모저: 언론(1792)
팔: 새로 도입된 언론 자유 제한조치에 대하여(1792)
피히테: 유럽 군주들에게 사상의 자유를 회복할 것을 촉구함(1793)
제3부 계몽과 혁명
림: 계몽은 인간 이성의 요청이다(1788)
모저: 진정한 정치적 계몽과 거짓된 정치적 계몽(1792)
티프트룽크: 계몽이 혁명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1794)
에르하르트: 민중의 혁명권에 대하여(1795)
베르크: 계몽은 혁명을 야기하는가?(1795)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텔카스텐 / 숀케 아렌스 (0) | 2022.02.17 |
---|---|
사이언스 블라인드 / 앤드루 슈툴먼 (0) | 2022.02.17 |
매경이코노미 2146 (0) | 2022.02.17 |
몰입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0) | 2022.02.16 |
사람은 왜 인정받고 싶어하나 / 이정은 (1)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