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기술의 변화를 단기적인 시각으로 유행에 따라 바라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기술은 개발과 발전, 초기 상용화 단계를 거쳐 누구나 쓰게 되면서 삶 전체를 바꾸기까지 짧게는 10년, 길게는 수십 년의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기에 장기적인 시각으로 하나의 기술 용어가 아니라 여러 기술이 동시에 시너지를 일으키면서 변화와 발전을 만들어가는 전반적인 그림을 볼 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장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 메타버스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디지털 세계와 아날로그 세계의 차이를 아는 것입니다. 결국 메타버스는 아날로그로 이루어진 현실 세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 세계와 연결하고자 탄생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디지털 세계와 아날로그 세계의 차이가 너무나 크다는 것입니다.
•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원자지만, 디지털 세계는 비트라는 단위로 구성됩니다. 비트는 모든 것을 빛이나 전기 등을 활용한 온/오프, 2가지 선택으로 나눌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 사이에 있는 모든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세계가 바로 메타버스입니다.
• 메타버스는 미래의 인터넷입니다.
2장 메타버스 시대의 변화와 기회
• 게임이 곧 메타버스다.
• 메타버스를 구현에 가장 중요한 기술 2 가지는,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입니다.
• 오피스 없는 기업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기업이 보유한 거의 모든 자산, 그리고 일과 관련된 것을 모두 디지털 기반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여기에서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그저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수준이 아니라, 기업 자체의 존재를 규정하는 시기에 접어들고 있는 것입니다.
• 메타버스 기획자는 세계관을 매우 적게 제공하고, 플레이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재료를 더욱 많이 공급해서 이들이 세계를 풍성하게 만들고, 더 많은 경험을 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현재 메타버스를 제작하는 데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은 Unity 입니다.
3장 생각하고 창조하는 생성형 AI
• 딥러닝 기술은 데이터의 특성과 그 목적, 계산하고 학습하는 방식에 따라서 크게 3가지로 분류합니다.
1. 강화 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2.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
3. 자가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Self-supervised learning
4장 생성형 AI와 메타버스의 미래
• 메타버스 구축의 요소 8가지
1. 나 me
2. 세계 around the world
3. 다양한 경험 millions of experiences
4. 친구 friends
5. 자연스러움 frictionless
6. 몰입 immersive
7. 시민 의식과 안전 civilly and safety
8. 경제 economy
에필로그
• 초창기 인터넷은 미국에서 핵전쟁에 대비한 네트워크 기술로 개발됐다가, 이를 일반에 공개하면서 주로 대학이나 여러 연구소 등에서 일하는 연구자가 활용했습니다. 인터넷이 일반인에게 빠르게 공급된 것은 WWW 기술이 개발된 이후입니다. WWW 를 이용하면 글뿐만 아니라 그림과 하이퍼링크를 통해 마우스만 가지고도 쉽게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터넷이 폭발적으로 보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