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만한 세상에서 그들은 어떻게 집중했는가?
전문가로 가는 첫 번째 단계는 하루 단 1시간이라도 앉아서 일하는 것
전문가가 되려면 3단계를 거쳐야 한다.
1단계) 단 1시간이라도 단순히 자리에 앉아 일할 수 있는 단계이다. 언뜻 쉬워 보이는 1단계는 사실 100명 중 99명은 해내지 못하며, 프레스필드 자신도 이 단계에 도달하는 데 7년이 걸렸다고 한다.
2단계) 이 1시간을 그 다음날, 일주일, 한 달, 일 년으로 확장하며 반복하는 것이다.
3단계) 프로젝트를 시작해 완성한 단계이다. 3단계를 거쳐 하나의 작업을 끝내고, 그 다음 작업으로 넘어갈 때가 고비다. 만약에 첫 번째 작업에서 성공을 했다면, 그 다음은 현실에 안주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는 전문가란 자기 주변 또는 자기 내면에서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어떤 일이 일어나도 계속해서 일을 해나갈 수 있는 사람이라다.
개인의 실천 습관이 일의 완성도를 결정한다 - 스콧 벨스키, 비핸스 창업자
• 이제 환경 탓은 그만하고 책임감을 가져야 할 때다. 어떤 일터건 완벽한 곳은 없는 상황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생각보다 훨씬 근본적이고 개인적인 것임이 드러나고 있다. 개개인의 실천 습관이 궁극적으로 우리가 하는 일과 일의 완성도를 결정한다. 딱 꼬집어 말해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을 좌지우지 하는 요소는 일상, 수동적이 아닌 주도적으로 일을 진행하는 역량, 업무 습관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최적화하는 능력이다.
1장 탄탄한 일상 구축하기
• 인생에서 뭔가 가치 있는 것을 창조하고 싶다면 세상의 요구와 자신의 야망 사이에 분명한 선을 그어 둘 필요가 있다. 그렇다. 우리 모두에게는 지불해야 할 청구서와 완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사람들의 삶에서는, 해야 할 일과 하고 싶은 일 사이 넓은 회색 영역이 존재한다.
• 업무 습관을 '창조적 업무 먼저, 반응하는 업무는 나중에'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단 1시간이라도 세상과의 연결고리를 끊으려면 의지력이 필요하다.
• 난 분위기가 조성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 그걸 기다리다가는 아무것도 이루지 못할테니. 지금 일해야 한다고 스스로 다짐해야 한다. - 펄 벅
• 자주하면,
1) 일을 시작하기가 좀 더 수월해진다.
2) 신선한 아이디어가 샘솟는다.
3) 부담이 덜어진다.
4) 창조성이 촉발된다.
5) 자주 하는 습관이 길러진다.
6) 생산성이 높아진다.
7) 자주 하는 것은 현실적인 방안이다.
• 반복적으로 무엇을 하느냐가 우리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탁월함은 행위가 아닌 습관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 요즘 같은 세상에 고독을 찾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고독이 주는 교훈을 배울 수 있고, 진정으로 집중하고 창조할 수 있는 공간을 찾을 수 있으며, 고요 속에서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루 20분에서 1시간만이라도 고독을 위한 시간을 비워두면 어마어마한 변화가 찾아온다.
2장 산만한 세상에서 집중하기
• 바쁜 게 다가 아니다. 개미도 바쁘다. 무엇 때문에 바쁜지 의문을 던져보아야 한다.
• 가장 원초적인 인간 어리석음의 유형은 자기가 무엇을 이루려 하는지를 망각하는 것이다. - 니체
3장 자기의 도구를 길들이기
• 성공한 사람들과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의 차이점은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은 거의 모든 일에 'No'라고 답한다는 것이다. - 워렌 버핏
• 우리는 무엇이든 할 수 있지만 모든 것을 할 수는 없다.
• 책임 Responsibility 은 응답하다 Response 와 능력 Ability 이 합쳐졌다. 즉, 책임은 자신의 응답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다.
4장 창의적 정신의 날을 세우기
• 한 창작자가 인정받기 위해서는 열렬한 지지자 한 사람이면 충분하다.
• 느긋하게 답을 기다리는 법을 체득하면, 우리 마음은 대부분의 질문에 답할 것이다.
• 모든 일에 완벽을 기하는 예술가는 그 어느 것도 완벽하게 하지 못한다.
• 창조성은 재능이 아니다. 창조성은 운영하는 방법이다.
전문가는 아파도 한다 -스티븐 프레스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