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니코마코스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

by mubnoos 2021. 1. 23.
728x90

세가지 물음
1)행복이란 무엇인가?
2)행복해지려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3)행복과 관련된 도덕적인 덕, 즉 품성의 덕은 무엇긴가?

 

 

1부 행복에 대하여

 

우리가 모든 일의 목적으로 삼는 것, 무슨 일을 하든지 그것 때문에 선택하는 것, 바로 그것을 선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사람이나 교양 있는 사람이나 모두 '행복'을 최고의 선이라 한다.

 

행복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인간에게 고유한 일과 기능이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자신의 고유한 일, 자기에게 어울리는 일을 탁월하게 매우 잘 수행할 때 사람은 가장 행복해지며, 그런 행복은 생애 전체에 걸쳐 완전한 덕을 성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정신의 덕이 있는 활동 _ 행복

 

1)최고의 선

의학의 목적은 건강
병법의 목적은 승리
경제의 목적은 돈을 버는 것


최고의 선은 궁극적인 목적 (행복)
궁극적인 선은 자족적이다. 여기서 자족이란 어떤 한 개인, 즉 고립된 생활을 하는 한 사람만을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타인들까지도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자족이란 아무런 부족함 없이 그것만으로도 생활을 바람직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인간의 기능
1)생명
2)감각과 운동
3)정신의 이성적 활동

 

적당한 수단이 없으면 고귀한 행위를 하거나, 또는 할 수 있다 해도 쉽게 할 수 없다.

 

어린아이나 동물들은 정신적인 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행복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참으로 선하며 나무랄 데 없이 곧으면 _ 인생의 여러가지 변화를 아주 고상하고 품위 있게 이겨 낼 것이다.

 

 

 

2)덕

덕이 있는 사람이 되려면 정념, 즉 감정을 다스리고 관리해야 한다. 정념이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는 중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마땅한 때, 마땅한 일, 마땅한 태도, 마탕한 동기_중용_ 참된 덕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부터 어떠한 습관을 가졌는가가 매우 중요해진다. 삶이 차이는 모두 차이는 거기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정신
1) 정념 2) 능력 3) 성품

 

덕 = 중용

 

무엇보다도 특히 경계해야 할 것은 쾌락이다.

 

 

 

2부 도덕적인 덕

 

1)용기

용기는 두려움과 태연함의 중용이다.

마땅한 때에 두려워하는 사람도 용감한 사람이다.

 

2)절제

욕망 가운데 어떤 것은 모든 사람에게 일반적이며 공통적이고, 또 어떤 것은 개인적이며 후천적이다.

 

3)관후

관후한 사람은 부자가 되기 쉽지 않다.
재물을 얻어가 모으는 데 익숙하지 않고, 오히려 잘 내어 줄 뿐만 아니라 재물 그 자체보다는 남에게 주는 것을 더욱 소중히 여기기 때문이다.

 

재물을 지닐 자격이 가장 충분한 사람이 실제로는 가장 적게 재물을 얻는다.

 

4)긍지

긍지있는 사람은 자기 자긴의 가치를 잘 파악하여 서두르거나 흥분하는 일 없이 고귀하고 선한 일을 행하는 사람으로, 자신을 귀하게 여긴다.

 

긍지있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큰 명예에 관심을 두고, 사소한 명예는 무시한다.
행운을 만나도 지나치게 좋아하지 않고, 불운을 만나도 지나치게 괴로워하지 않는다.
강한 사람 앞에서는 위엄 있고 약한 사람 앞에서는 겸손하다.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지 않고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비겁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솔직하게 말하고 솔직하게 행동한다.

 

진실성
중용을 지키는 사람은 타고난 그대로의 사람이며, 행동이나 말에서 자기가 가진 것만을 자기의 것이라 말하고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자기 것으로 내세우지 않는 사람이다.

 

5)온화함

 

6)사교상의 덕

 

7)수치심,부끄러움을 아는 것

 

8)정의

정의_ 다른 사람을 위한 선

 

1)분배 정의
2)시정 정의
3)교환 정의
4)정치적 정의

 

 

 

3부 지적인 덕

행위_이성에 따르는 행동

 

선택은 사유와 관련된 욕구이며, 욕구와 관련된 이성이다.

 

기술_ 참된 이치에 따라 제작할 수 있는 상태

 

철학적 지혜는 행복을 만들어 낸다.
실천적 지혜는 철학적 지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생기도록 마음을 쓰는 것이다.

 

 

 

4부 자제와 쾌락

자제하지 못하는 감정 상태가 생기는 이유는 참된 의미의 인식을 갖지 못하고 단지 감성적 인식만을 지니기 때문이다.

 

 

 

5부 우애 (필리아)

우애란 선의를 주고 받을 때 생겨난다.

 

 

 

6부 다시 행복에 대하여

중용을 발견하는 것은, 원의 중심을 찾는 것처럼 어려울 일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