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세계는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병들게 하는가
“아이들을 화성에 보내겠습니까?”
• 현실 세계의 사회적 상호 작용
1. 체화된 방식으로 일어난다.
2. 동기화된 방식으로 일어난다.
3. 주로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의 의사소통으로 일어나며, 한 순간에 단 한 가지 상호 작용만 일어난다.
4. 진입과 퇴출 장벽이 높은 공동체 내에서 일어난다.
• 가상 세계의 사회적 상호 작용
1. 비체화된 방식으로 일어난다.
2. 비동기화된 방식으로 일어난다.
3. 수많은 잠재적 청중을 상대로 일대다 의사소통이 아주 많이 일어난다. 다중 상호 작용이 병렬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4. 진입과 퇴출 장벽이 낮은 공동체 내에서 일어난다.
• 디지털 시대에 더 건강한 아동기를 위한 기본적인 개혁
1. 고등학생이 되기 전 스마트폰 금지
2. 16세기 되기 전에는 소셜 미디어 금지
3. 학교에서 휴대폰 사용 금지
4. 감독하지 앟ㄴ는 놀이와 독립적 행동을 더 많이 보장한다.
1부 밀려오는 해일
1장 고통의 급증

• 불안과 두려움은 관련이 있지만, 같은 것은 아니다.
DSM-5에서는,
두려움은 실제적인 또는 지각된 목적의 위협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다.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예상이다.
2부 배경 이야기: 놀이 기반 아동기의 쇠퇴
2장 아동기에 아동이 해야 하는 일
• 어린 포유류는 놀길 원하고, 놀 필요가 있으며, 놀이를 박탈당하면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손상을 입는다. 놀이르르 통해 어린 포유류는 어른으로서 성공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술을 배우며, 그것도 신경세포들이 가장 좋아하는 방식으로 배운다. 즉, 위험이 낮은 환경에서 성공과 실패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반복 활동을 통해 배운다.
• 자유 놀이의 중요한 특징 하나는 일반적으로 실수의 비용이 그다지 크지 않다는 점이다.
• 놀이 시간의 감소는 너무나도 심각해서 어린이의 손에 쥐어진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경험 차단제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이다.
•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지금까지 발명된 것 중 가장 효율적인 동조 엔진이다.
3장 발견 모드와 위험한 놀이의 필요성
• 우리는 현실 세계에서는 자녀를 과잉보호하는 반면, 온라인에서는 과소보호하고 있다.
• 안티프래질 아이가 발견 모드를 유지하려면 위험한 놀이가 필요하다.

4장 사춘기와 차단된 성인기 전환

• 경험 차단제 : 안전 지상주의, 스마트폰
3부 아동기 대재편: 스마트폰 기반 아동기의 부상
5장 네 가지 기본적인 해악: 사회적 박탈, 수면 박탈, 주의 분산, 중독
• 도파민 분비는 즐거운 느낌을 주지만 만족감을 촉발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도파민 분비를 촉발하기 위해 했던 것을 더 많이 하게 만든다.
6장 왜 소셜 미디어는 남자아이보다 여자아이에게 더 해로운가
1. 여자아이는 시각적 사회 비교와 완벽주의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2. 여자아이의 공격성은 더 관계적이다.
3. 여자아이는 감정과 장애를 더 쉽게 공유한다.
4. 여자아이는 약탈과 괴롭힘에 더 취약하다.
7장 남자아이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 오랜 기간 계속된 남성의 쇠퇴
8장 영적 고양과 퇴화
4부 더 건강한 아동기를 위한 집단행동
9장 집단행동을 위한 준비
10장 정부와 테크 회사가 지금 할 수 있는 일
11장 학교가 지금 할 수 있는 일
• 휴대폰 없는 학교
• 놀이가 많은 학교
• 렛그로 프로젝트
• 더 나은 쉬는 시간과 운동장
12장 부모가 지금 할 수 있는 일
1. 아이가 당신에게 연락할 방법이 없는 ㅅ아태로 아이를 시야에서 벗어난게 하는 연습을 하라.
2. 아이들이 함께 모여 밤을 새우며 노는 걸 장려하고, 소소한 것까지 챙겨주려고 애쓰지 마라.
3. 친구들과 함께 학교까지 걸어가도록 장려하라.
4. 방과 후 자유 놀이를 즐기게 하라.
5. 캠핑을 가라.
6. 아무 기기도 없고 안전 지상주의도 없는 캠프를 찾아보라.
7. 아동 친화적 동네와 동네 놀이 공간을 조성하라.
아이들을 지구로 되돌려 보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