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식욕의 비밀 / 데이비드 로벤하이머,스티븐 J. 심프슨

by mubnoos 2024. 4. 4.

 

 

ㆍ탄수화물은 탄소, 수소, 산소 원자가 1:2:1의 비를 이루고 있다. 자연에 있는 탄수화물은 대부분 공기와 햇빛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식물과 조류가 광합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대기의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해 만든다. 그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겨난 산소가 대기로 방출된다. 

 

ㆍ펩티드는 단백질보다 짧은 아미노산 사슬을 가리킨다. 대개 2~50개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것을 가리킨다. 우리가 먹은 단백질은 소화될 때 작은 펩티드(아미노산 2~3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창자벽 안쪽으로 흡수된다. 우리 몸은 아미노산을 이어 붙여 펩티드를 만드는데, 펩티드는 매우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다. 

 

ㆍ당은 작은 탄수화물 분자다. 가장 기본 구성단위는 단당류로, 포도당, 과당(과일의 당), 갈락토스(우유)가 있다. 포도당은 식물과 조류의 광합성에서 생기는 1차 산물이다. 모든 생물의 생명 활동에 쓰이는 주된 연료이며, 우리 몸속을 순환하는 혈당이기도 하다. 

 

ㆍ섬유질은 식물이 만드는 복잡한 탄수화물이다. 단순한 당들이 결합된 형태다. 섬유질은 소화 때 분해가 잘 안 된다. 

 

ㆍ글리코겐은 포도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물의 몸이 탄수화물을 저장하는 형태다. 우리 몸은 글리코겐을 약 1KG만 저장하는데, 주로 간에 저장되며 근육에도 일부 저장된다. 이 글로코겐을 다 쓰면, 저장된 지방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어야 한다. 마라톤 선수는 이렇게 연료가 전환되는 때가 언제인지 안다. 이 전환 시점이 되면 '한계에 부딪힌다'고 느낀다. 

 

 

 

 


1장 메뚜기의 한 철

 


2장 칼로리와 영양소

ㆍ음식은 우리를 사회적 및 문화적으로 결속시킨다. 생명 자체를 유지하는 연료를 제공한다는 것 말고도 아주 많은 즐거움을 준다. 

 

ㆍ칼로리가 정확히 뭘까? 칼로리는 그저 에너지의 단위 중 하나다. 1칼로리는 물 1kg(1L)의 온도를 14.5~15.5도로 섭씨 1도 올리는 데 드는 에너지양이다. 

 

ㆍ물은 제외한 모든 식품은 열량을 지닌다. 

 

ㆍ다량 영양소는 에너지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 단백질과 그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은 질소도 공급한다. 그 질소는 호르몬, 효소, 정보 저장 분자인 DNA와 RNA를 비롯해 온갖 중요한 물질을 만드는 데 쓰인다. 단백질을 소화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살아갈 수 없다. 

 

ㆍ특히 포도당은 중요하다. 우리 몸이 의존하는 주된 탄수화물이기 때문이다. 포도당은 에너지를 제공할 뿐 아니라, 단백질에서 나오는 질소와 결합해 DNA와 RNA를 만든다. 

 


3장 그래프로 보는 영양

 


4장 식욕들의 춤 경연

ㆍ다음 다섯 가지 식욕만으로 충분하다. 이 식욕들은 다음과 같은 영양소를 먹도록 우리를 내몬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나트륨, 칼슘


5장 법칙의 예외 사례 찾기

 


6장 단백질 지렛대 가설

ㆍ감칠맛은 음식에 단백질이 들어 있다는 신호다. 

 

ㆍ단백질이 부족하지만 열량이 풍부한 세상에서는 단백질 목표량을 채우려 시도하면서 탄수화물과 지방을 과식하게 되며, 그 결과 비만 위험에 처한다.

 

ㆍ 식단의 단백질 함량이 높을 때, 우리는 단백질 과잉 섭취를 피하기 위해 탄수화물과 지방을 덜 먹는다. 


7장 왜 그냥 단백질을 더 많이 먹지 않는 것일까?

 


8장 영양 지도 작성

ㆍ저단백 식단은 성장과 번식 때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손상으로부터 DNA, 세포, 조직을 보호하는 장수 경로를 켬으로써 수명을 연장했다. 

 

ㆍ우리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섬유질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인슐린 내성 유무와 관계없이 비만을 예방하거나 일으킬 수 있었다. 수명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었다. 번식을 촉진하거나 지체시킬 수 있었다. 근육 질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었다. 장내 미생물과 면역계를 변화시킬 수 있었다. 


9장 먹이 환경

 


10장 먹이 환경의 변화

 


11장 현대 환경

 


12장 독특한 식욕

 


13장 단백질 목표 섭취량 이동과 비만의 악순환

ㆍ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늙을 때까지 살아가면서, 또 생활 습관에 따라 단백질과 에너지 요구가 달라진다. 우리의 단백질 목표 섭취량은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부모의 생활 습관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14장 교훈을 실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