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 애덤 윌킨스

by mubnoos 2024. 5. 7.
728x90

 

인간의 얼굴이 어떻게 그리고 왜 지금의 모습이 되었는가?

 

 

서문

ㆍ익숙함이 항상 무관심을 낳지는 않지만, 무지로 이어지는 경우는 흔히 발생한다. 그리고 이 무지는 익숙한 존재가 가진 결함이나, 더 놀랍게는 독특하고 고유한 성질을 깨닫지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1장 인간의 얼굴은 진화의 산물이다

 

ㆍ얼굴의 기능에 대한 단서는 얼굴에 시각과 후각, 미각이라는 중요한 감각 기관 세 개가 모여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얼굴은 음식과 미래의 배우자감, 잠재적 위협에 대한 필수 정보를 수신하는 장소이며, 실제로 동물의 감각을 관장하는 본부 역할을 한다. 

 

ㆍ인간의 얼굴은 감정 상태를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는 매우 정교하고 민감한 의사소통 도구라고 할 수 있다. 

 


2장 얼굴의 발달 과정: 배아부터 청소년까지

 



3장 얼굴을 형성하는 유전적 기반

ㆍ세포는 스스로를 복제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발달과정에서 사실상 다른 비율로 다른 생산물을 만드는 자기 변형 공장이 되기 위해 특유의 방식으로 스스로를 바꾼다. 

 

ㆍ더 큰 두뇌가 발달한 원인은 더 많은 신경 전구세포들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에 있다. 세푸 생물학자들은 분열되는 세포를 모세포라고 하고, 이것이 분열해서 생성된 두 개의 세포를 딸세포라고 한다. 하나의 세포가 유사하거나 동일한 운명을 가진 두 개의 딸세포를 생성할 때 이 세포 분열을 대칭 분열이라고 하며, 세포의 딸들이 다른 운명으로 나아간다면 비대칭 분열이라고 한다. 



4장 다양한 얼굴을 만드는 유전자

 

 


5장 얼굴의 역사 I: 최초의 척추동물부터 최초의 영장류까지

 



6장 얼굴의 역사 II: 초기 영장류부터 현대 인류까지

 



7장 두뇌와 얼굴의 공진화: 인식하기, 읽기, 표정 만들기

 



8장 “종분화 이후”: 진화하는 현대 인간의 얼굴

 



9장 얼굴 의식하기와 얼굴의 미래

 

 



10장 인간의 얼굴 형성에서 사회선택의 역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