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의 불확실성을 이해하고, 지혜롭게 다루는 법
• 우리가 죽음과 어둠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그것이 미지의 영역에 속해서일 뿐, 다른 이유는 없다.
• 우리는 볼 수 없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
• 가장 뿌리 깊고 지독한 두려움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이다.
• 우리의 삶에서 불확실성은 일종의 법칙에 가깝다. 우리는 바로 다음 순간에 일어날 일좇차 모르는 채 불확실성을 안고 살아간다.
• 우리에게 불안감을 유발하는 것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떠올리게 되는 부정적인 생각이다.
1부. 우리는 불확실성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 사람마다 확실성을 갈망하는 정도와 종결 욕구(예측 불가능한 상황, 즉 불확실성을 빨리 끝내려는 욕구)가 다르다.
• 종결 욕구 : 주어진 주제에 대한 확실한 답,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혼란이나 모호함과는 대비되는 답을 바라는 마음
• 일상의 불확실성은 대개 평범하고 시시한 것들이다. 대부분은 너무 진땀을 빼지 않아도 되는 사소한 문제들이다.
• 불확실성 앞에서 인간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반응은 ‘인지적 종결의 추구’다.
• 한 가지 생각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매달리는 탓에 다른 것을 잘 보지 못하는 것은 인지적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의미이다.
• 종교를 가진 사람들은 자애롭고 인정 많은 신과의 관계를 의식함으로써 안정감과 행복을 얻는다. 신과 친밀한 관계를 가진 사람들은 대체로 자신감이 높은 편이며, 어렵고 불확실한 시기에도 대체로 삶을 잘 꾸려나간다.
• 불확실성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유전자뿐만 아니라 유년기 경험에 따라서도 결정된다.
• 인정받는 것이 곧 존재하는 것이다.
2부 불확실성에 대한 우리의 반응이 세상을 바꾼다
• 불확실성을 피해 도망치다 보면 우리의 정보 처리 방식이 왜곡될 수 있다. 정보를 선별적으로 대충 보고, 자신의 관점을 뒷받침하는 것만 골라서 찬성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면 결국에는 가장 적은 정보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에 가장 자신만만하기 쉽니다. 어쩌면 모르는 게 오히려 약일 수도 있다. 그토록 갈망하는 확실성을 얻을 수 있으니 말이다. 이럴 때는 어떤 정보가 정확한지 신경 쓰는 것보다 당장 마음 편한 결론을 얻는 것이 더 중요해진다. 자신감을 느낀다면 결국 충분히 근거가 있는 것이라고 믿으며 스스로를 속이고 만다. 사실은 편향되고 제한된 정보에 바탕을 두는 것인데도 말이다.
• 공감은 대인관계의 꽃이다.
• 불확실성이 불편하고 거북한 이유는 이것이 우리 자신에게 의문을 갖게 하기 떄문이다.
3부. 불확실성을 포용하는 현명한 방법
• 뷸확실성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주관적인 경험이라 할 수 있다
1. 똑같은 상황에서 누군가는 불확실성을 느끼지만 누군가는 그렇지 않다.
2. 불확실성을 느끼면 어떤 사람은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반면 누군가는 긍정적인 자극을 받을 수도 있다.
• ‘가치’란 어떤 일이나 결과의 바람짐함 혹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뜻한다.
• ‘예상’이란 바람직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일어날 가능성에 대한 느낌이다.
• 낙관주의에도 나름의 제한이 있다. 낙관주의적 관점이 현실과 완전히 동떨어지면 오히려 역효과를 낳아 더 큰 고통을 불러온다.
• 삶은 예측할 수 없고, 감정은 순간마다 달라진다.
• 확신이 거짓말보다 더 위험한 진리의 적이다. - 니체
• 삶은 계속 변하기 마련이고, 변화란 곧 미답의 영역, 즉 불확실성으로 들어서는 것이다.
우리는 불확실성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
• 불확실성과 관련한 자기 인식은 가장 근본적인 첫 번째 교훈이다. 자신이 미지의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고 종결 욕구가 얼마나 강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어떻게 느끼는지 성향을 잘 파악하면 피하고 싶은 결과를 일으킬 수 있는 태도를 조정하고 보완할 수 있다.
• 불활실성은 꼭 좋기만 하거나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은 도움이 된다. 불확실성은 그저 불확실성일 뿐이며, 불확실성에 대한 당신의 반응은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