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이 아이들이 정말 ADHD일까 / 김경림

by mubnoos 2023. 6. 30.

 

ㆍADHD는 병도 아니고 장애도 아니다. 그냥 아이가 가진 어떤 특징이고 성향일 뿐이다. 

 

ㆍADHD 치료제라는 것은 없다. 

ㆍADHD는 문제가 아니라 재능이다. 

 

ㆍ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중요성

 

ㆍ프로그램이란 구조화된 활동이다. 시작부터 끝까지 정해진 순서가 있고 정해진 형식이 있다. 그 활동을 함으로써 성취해야 할 목표도 정해져 있다. 

 

ㆍ창의적인 아이들은 자기가 알아서 자유롭게 탐색하고 탐구하고 탐험하기를 원한다. 남이 정해 준 순서에 따르고, 남이 만들어 놓은 틀 속에 머무는 것 자체를 힘들어한다. 

 

ㆍ아이가 어릴수록 그 아이에게 가정은 곧 세계다. 그 이상의 세상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의 해체나 불화나 어른들이 느끼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치명적인 위협을 아이에게 가하는 것이다. 심각하고 급박한 위협 앞에서는 누구나 이상행동을 보이게 된다. 

 

ㆍ집안에서 무슨 일이 있을 때 아이한테 비밀로 하는 것을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를 보호하는 행위로 생각한다. 그러나 정서적으로 민감한 아이는 분명히 무슨 일이 있어났음을 직감으로 알고 있고 그게 뭔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훨씬 더 불안에 시달린다. 부모가 아이 모르게 하려고 아무리 세심하게 신경을 쓰고 노력해도, 그럴수록 아이는 점점 더 혼란스럽고 불안해질 뿐이다. 차라리 무슨 일인지 공개하고 나면 아이는 안심한다. 뭔지를 알고 나면 과도한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ㆍ아이가 말이 더 낫다는 것을 알게 하려면 부모는 아이가 하는 말이 아무리 당돌하게 느껴지더라도 그 내용의 핵심과 맥락에 귀를 기울여서 그 말을 존중해 주고 인정해 줘야 한다. 

 

ㆍ감정을 억누르려는 노력은 역작용을 일으킨다. 억누르려고 노력할수록 그 감정에 더 집중하게 되고, 통제하려는 의지와 통제하지 못할 것만 같은 낭패감의 힘겨루기가 감정을 더 자극한다. 그렇게 하다가 터진 감정은 훨씬 강력하게 폭발한다. 결국 감정을 통제하지 못했다는 실패감과 함께 한 순간에 통제를 놓아 버림으로써 로켓 발사 같은 추진력이 생기는 것이다. 감정이 압축되어 있지 않으면 폭발도 못한다. 폭발할 만큼 압력이 높아졌으니까 폭발하는 것이다. 평소에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그때그때 표출하게 해 줬다면 폭발할 일도 없을 것이다. 평소에 아이가 감정을 표출하지 못하게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막는 것은 부모가 폭발을 조장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ㆍ아이를 다룰 때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원칙 중의 원칙이 선감정 후 논리, 먼저 감정을 받아 주고 나서 나중에 판단하기다. 

 

ㆍ활동 에너지가 많다는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라 장점이다.

1. 왕성한 활동 에너지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으면 된다. 

2. 에너지가 생산적인 목표로 향해 있으면 된다. 

 

ㆍ분명한 것은 20~30년 후에 어느 분야에서든 성공한 사람들은 아마도 거의가 다 '사냥꾼의 후예들'일 것이라는 점이다. 사냥꾼의 유전자를 가진 아이들이 학교 권력에 굴복해서 사냥꾼도 아니고 농사꾼도 아닌 이상한 뭔가가 되지만 않는다면, 타고난 사냥꾼 기질을 무사히 잘 지켜낼 수만 있다면 성공적으로 살아남는 자들은 아마도 이 아이들이 될 것이다. 

 

ㆍ아이의 자기 인식이 달라지면 모든 것이 달라진다. 

 

ㆍ인간다운 삶이란 생존 그 이상을 추구하는 삶이다.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경지를 추구하는 바로 그 특성 덕분에 인간은 여기까지 진화해 왔다. 그런데 그런 방향으로 진화해 온 인간을 오로지 생존만을 추구하는 존재가 되도록 강제로 몰아가는 사회는 그 역방향의 힘이 치닫다가 극대화되는 순간에 바로 그 힘에 의해 파괴될 것이다. 인간다운 삶을 추구한다는 이유로 도태되는 이 아이들은 어쩌면 우리 사회가 치닫고 있는 역방향의 힘에 온몸으로 맞서고 있는, 그래서 파괴적인 종말에 이르지 않도록 우리 사회를 구해내 줄 전사들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