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조정자들 / 엘리 프레이저

• 구글은 당신이 어디를 통해 로그인하는지,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는지, 전에 무엇을 검색했는지에 이르기까지 57개의 시그널을 이용해서 당신이 누구인지, 어떤 사이트를 좋아하는지 추측하고 있다.
• 검색 결과는 사람마다 완전히 다를 수도 있다. 이제 구글의 표준 검색 결과는 없다.
• 검색엔진이 검색하는 사람의 비위를 슬슬 맞춰 주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검색엔진은 우리가 무엇을 클릭하는지 살펴서 우리가 원하는 것을 다시 보여준다. 즉, 컴퓨터 화면은 점점 더 우리를 비추는 거울이 되어가고 있다.
• 스마트폰에 내장된 마이크로폰, 자이로스코프, GPS와 같은 장치들은 당신이 지금 걷고 있는지, 차를 타고 있는지 또는 누구와 만나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 우리는 각각에 대한 유일한 정보의 바다를 만든다. 우리가 온라인에서 정보와 아이디어를 맞닥뜨리는 방법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을 '필터 버블'이라고 부른다.
• 필터 버블의 현상
1. 외톨이 현상
2. 오리무중 헤매기
3. 떠밀리기
1장 관련 정보는 어떻게 돈이 되는가
• 물건에 대해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고객이 아니라 팔리는 상품과 같다.
• 데이터는 맥시멈의 공장의 제품이다.
2장 사용자가 곧 콘텐츠다
• 완전한 소통의 자유를 막는 모든 것은, 인간을 나누고 다투게 하는 장벽을 만들어 민주적인 생활 방식을 위태롭게 한다.
• 사람들은 자기를 위해 특별히 마련되었다고 생각되지 않는 것은 보거나 소비하려 하지 않는다.
3장 약 권하는 사회
• 다른 사람들과 만나 그들이 다른 생각과 행동을 하는 것을 경험하는 것은 아주 가치 있는 일이다. 이러한 소통은 전에도 그랬고 지금 이 시대에도 진보의 주요한 원천이다.
• 실제가 아니라 보고 싶은 것만 본다.
• 무작위적 기회는 혁신의 필요조건이다. 가장 큰 진전은 전혀 예상치 못한 것에서 생긴다.
4장 그들이 만든 순환 고리에 갇히다
5장 대중의 취향이 사라지고 개인의 취향만 존재한다
• 우리가 보고 듣는 것을 꼭 같이 보고 듣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은 세상과 우리가 실재함을 확인시켜준다.
• 공공의 문제는 외면받고 감정적 이슈에는 열광한다.
6장 기술은 세상과 어떻게 만나야 하는가
• 규칙만 따라가는 삶은 충만함을 모른다.
7장 당신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 모든 데이터에는 최종 목적이 있었다. 버려진 것은 없었다. 그러나 수집된 모든 데이터는 완전히 연결되지 않았고, 가능한 모든 관계로 모아졌다.
8장 필터 버블을 깨뜨려라
• 자아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치가 존중되는 환경에서 살아야 한다. 특히 자신의 본성에 잘못 이끌려가지 않도록 아주 다양한 선택지가 필요하다.